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해외유입 사례가 급증하면서 방역 사각지대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정부가 해외유입 차단을 위한 대응책을 연이어 내놓고 있지만 지역사회로 전파가 이미 가시화됐고, 러시아 선박발 집단감염은 2차 감염 사례까지 확인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6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일 대비 58명 늘어나 총 확진자 수는 1만415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확진자 중 12명은 지역사회, 46명은 해외유입 사례였다. 해외유입 사례에는 이라크 귀국 근로자 38명도 포함됐다. 이날 오후 1시까지 파악된 추가 확진자 1명까지 포함해 이라크 귀국 근로자 293명 중 누적 확진자는 75명으로 늘었다.
해외유입 환자는 최근 2주간 1일 평균 31.4명이 발생했다. 이는 이전 2주(6월 28일∼7월 11일)에 비해 11.8명이 증가한 수치다. 부산항에서는 러시아 원양어선 ‘페트르원호’ 선원 94명 중 32명이 전날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지난 25일 기준 부산항에 들어온 러시아 선박에서 발생한 감염 사례는 40명이었다.
해외유입의 최대 관건은 지역사회로의 전파 차단이다. 그동안 방역당국은 해외유입으로 인한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은 낮다고 단언해왔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도 “해외유입 환자는 전원 진단검사 시행과 2주간 격리를 원칙으로 하고 있어 국내감염으로 확산되는 일은 거의 없어 위험도는 낮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표를 보면 지역사회 감염 위험은 가시화되고 있다. 해외유입 확진자의 가족과 지인, 직장동료 등 최소 16명이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다. 페트르원호 집단감염으로만 지역사회 감염자가 9명 발생했다. 선박을 수리하던 수리공 8명이 전날 확진 판정을 받은 데 이어 이날 접촉자 1명이 추가 확진됐다.
부산항의 경우 지난달 23일 러시아선박 집단감염이 처음 발생한 후 보다 세밀한 방역 대책을 세울 수 있는 시간이 한 달가량 있었다. 하지만 선박 수리작업에 따른 지역사회 연결고리는 놓쳤다. 박능후 장관도 이에 대해 “조선소에 들어온 배를 수리하기 위해서 우리 근로자들이 그 배에 승선하고 오가면서 감염이 일어나는 사례까지 미처 대비하지 못했던 것은 부실한 대응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다만 방역 당국은 지난 20일부터 수리, 화물 선적 등으로 우리 국민과 대면접촉이 필요한 러시아 선박 선원 전원에 대한 진단검사를 실시함으로써 같은 문제가 향후 반복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중대본은 향후 방역강화 대상 국가를 확대하고, 이들 국가에서 출항한 선박의 선원은 출항 48시간 이내에 발급받은 PCR(유전자증폭) 음성확인서 제출을 의무화한다고 밝혔다. 또 선원의 국내 상륙은 진단검사 결과 확인 후 음성일 경우에만 허가하는 등 하선 선원의 상륙 허가도 최소화할 계획이다. 최근 외국인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 앞으로 외국인의 입원치료비는 본인이 부담하도록 법령 개정도 추진한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