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탈북민이 개성을 통해 월북했다고 주장한데 대해 우리 군 당국은 “일부 인원을 특정했다”고 밝혔다. 특정 탈북민이 월북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군 당국의 대북 경계에 또 구멍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오전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주재 하에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비상확대회의가 열린 사실을 보도했다. 통신은 그러면서 “개성시에서 악성비루스(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월남 도주자가 3년 만에 불법적으로 분계선을 넘어 7월 19일 귀향하는 비상사건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3년 전 한국에 온 탈북민이 지난달 19일 군사 분계선을 넘어 개성을 통해 북한으로 들어갔다는 주장이다. 그리고 이 탈북민은 코로나19 의심 환자라는 것이다.
우리 정부는 보도 직후 북한의 주장의 진위를 여러 경로를 통해 파악했다. 군 당국은 현재 일부 월북 가능성이 높은 탈북민을 특정해 실제 월북 여부 및 경로를 확인 중이다. 군 관계자는 “일부 인원을 특정했고 관계 기관과 긴밀히 공조해 확인 중”이라며 “감시 장비, 녹화 영상 등 대비 태세 전반에 대해 합동참모본부 전비 검열실에서 확인 중인 사안”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정된 인원의 월북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며 “자세한 (월북) 경로를 조사 중”이라고 덧붙였다.
탈북민들은 탈북 이후 5년 동안은 관할 경찰서의 신변 보호 대상이다. 다만 탈북민 수가 많아 경찰 등에서 탈북민의 개별 동선까지 실시간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해당 탈북민이 월북하는 과정에서 군 당국에 포착되지 않은 점은 비판을 면하기 어려워 보인다. 대북 경계 태세에 또 구멍이 난 셈이어서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