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이 격화되면서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현지시간으로 24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온스당 0.4%(7.50달러) 오른 1897.50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 2011년 8월 22일 세워진 온스당 1891.90달러 이후 9년 만에 기록한 최고가다.
미국과 중국의 총영사관 폐쇄 조치로 금값이 장중 한때 1905.99달러까지 치솟았다. 장중 가격도 2011년 9월 이후 최고가다. 이번 주 주간 상승률은 5%에 달하기도 했다.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글로벌 불확실성이 투자자를 안전자신인 금에 몰리게 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금값이 더 뛸 거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스티븐스리포트 연구소의 타일러 리치는 미국 경제전문매체 마켓워치 인터뷰에서 “장기적인 관점의 전망, 매우 불확실한 현 거시경제 환경과 전례 없는 경기부양책, 역대 최저에 가까운 금리 등을 고려하면 ‘골드 랠리’는 확실히 몇 달 동안, 아마도 다가올 여러 분기 동안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설적인 신흥국 투자 전문가로 통하는 마크 모비우스 모비우스 캐피털 공동창립자는 블룸버그TV에 “금리가 제로(0) 혹은 제로에 근접했을 때 금은 매력적”이라며 “시장에서 불확실성이 커지면 금값이 올라가기 때문”이라고 했다.
인시그니아 컨설턴트의 친탄 카르나니 수석 애널리스트는 “금과 은 매수자들은 향후 2주 동안 진정한 도전에 맞닥뜨릴 것”이라면서도 “미중 갈등이 고조되고 미국의 코로나19 감염자가 계속 급증한다면 그때는 금과 은이 더 오르기만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