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노사정 합의안 부결’ 책임지고 사퇴

입력 2020-07-24 17:12

김명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부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를 선언했다.

김 위원장은 24일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짧은 시간이었지만 시대적 요구를 걸고 노사정 합의 최종안 승인을 호소드렸지만 부결됐다”며 “예고 드린 대로 임기가 5개월 남짓 남았지만, 책임을 지고 위원장직을 사퇴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경자 수석부위원장과 백석근 사무총장도 함께 직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4월부터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대화를 먼저 제안했었다. 이에 정세균 국무총리가 중심이 된 노사정 대표자 회의가 꾸려졌고, 노사정 합의안을 도출했지만,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 반대에 부딪혀 추인을 받아내지 못했다. 중앙집행위원회 측은 ‘해고금지’가 포함돼 있지 않다며 합의안에 반대했었다. 23일 온라인 임시 대의원회를 열어 노사정 합의안 승인 안건을 상정했지만 61%가 반대해 최종적으로 부결됐다.

김 위원장은 “조합원과 각급 대표자 동지들에게 제안한 것은 최종안 승인만이 아니었다”며 “이를 디딤돌로 취약계층, 사각지대 노동자, 국민과 함께 위기를 극복하고 코로나19 재난 이후의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가고자 함이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이어 “저희의 바램과 실천 의지가 실현되지 못하고 물러나지만, 다시 현장의 노동자, 조합원으로 돌아가 그것이 실현되기 위한 노력과 활동을 멈추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의 사퇴하면서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돼 김 위원장의 본래 임기인 올해 말까지 민주노총을 이끌게 될 전망이다. 민주노총은 27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소집해 비대위 구성을 논의할 계획이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