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자국 총영사관을 폐쇄 통보한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로 쓰촨성 청두에 있는 미국총영사관에 폐쇄를 요구했다.
중국 외교부는 24일 보도자료를 내 청두 주재 미국총영사관의 설치·운영 허가를 철회하고 모든 업무와 활동을 중단할 것을 미국 대사관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미국은 휴스턴 주재 중국총영사관의 폐쇄를 일방적으로 요구하면서 국제법과 국제관계 기본 준칙, 중·미 영사조약에 관한 규정 등을 위반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의 조치는 미국의 부당한 요구에 대한 정당한 반응이며 국제법과 국제관계기본준칙, 외교 관례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외교부는 현 사태의 책임이 미국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그들은 “현재의 중·미 국면은 중국이 바라는 것이 아니며 모든 책임은 미국에 있다”며 “미국이 즉시 잘못된 조치를 철회하고 양국 관계 정상화를 위해 필요한 조건을 만들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휴스턴 중국총영사관 폐쇄 시한을 24일 오후 4시(현지시간)로 통보한 상태다.
청두에 있는 미국총영사관은 1985년 문을 열었다.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 충칭시 외에 인권 문제로 관심이 집중된 티베트자치구를 관할하고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미국은 청두 외에 광저우, 상하이, 선양, 우한 등 중국 본토 5곳과 홍콩·마카오를 관할하는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중국이 청두를 택한 건 미 정부가 최근 티베트 인권 탄압에 관여한 중국 관료들을 제재하기로 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외교관 출신인 제임스 그린 조지타운대 중국 분석가는 CNN방송에 “미국이 티베트 인권 침해와 관련해 중국 관리들을 제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청두 총영사관을 폐쇄하는 것은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 발표에 앞서 관영 매체들은 홍콩에 있는 미국총영사관을 ‘스파이 센터’라고 주장했다. 미 정부와 의회 인사들이 휴스턴 중국총영사관을 ‘스파이 소굴’로 몰아붙인 데 따른 맞불 작전으로 보인다.
글로벌타임스는 “홍콩 주재 미국총영사관의 직원 절반 이상은 미국 중앙정보국(CIA) 요원”이라며 이곳이 ‘반중 캠프’ 역할을 해왔다고 보도했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홍콩 주재 미국총영사관의 직원은 1100명 이상, 홍콩 시위가 이어졌던 지난해에는 1600명 이상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전문가들은 이곳의 임무 중 하나가 홍콩을 민주주의 전선으로 만들어 중국에서 분리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