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부질문에서 미래통합당을 향해 ‘도를 넘었다’고 일갈한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의원이 “국회를 소란스럽게 해서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정부 질의에서 저의 발언으로 인해 잠시나마 국회에서 언성이 높아지고 국민께 아름답지 않은 국회의 모습을 보여 드리게 된 점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그는 “통합당의 무례한 억측에 대해 묵과하고 지나갈 수 없어 저의 대정부질문 질의시간 일부를 할애해 부당한 주장을 바로잡고자 했던 것”이라며 “대정부질문에서 국민이 선출한 합법적 민주 정부에 대해 ‘독재’를 운운하는 것이 허용된다면, 그것을 바로 잡는 것 역시 허용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이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통합당을 향해 “‘문재인 정부가 독재를 하고 있다. 입법부를 장학했다’는 통합당의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며 “이러한 주장을 하기 전에 통합당에서 지난 두 달 동안 어떤 모습을 보였는지 한 번 되돌아보시길 바란다. 국민은 통합당의 주장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에 통합당 의원들은 “지금 뭐 하는 것이냐” “내려와라”며 극렬 반발했고 본회의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됐다.
소란이 이어지자 사회를 보던 김상희 국회부의장은 이 의원에게 “대정부질문에 적합한 질의를 해달라”고 주문했지만, 이 의원이 발언을 이어갔고, 김 부의장은 이후 다시 주의하라고 경고했다.
이 의원은 “통합당이 상임위원장을 모두 민주당이 가져가라며 국회 회의장을 등지고 떠난 이후 ‘거대여당 상임위 독식’과 ‘일당독재’ 프레임을 씌우면서도 민주당의 상임위원회 배분 제안 설득과 협상에는 침묵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주 원내대표가 교섭 단체 연설을 통해 현직 법관들의 이름을 거명하며 사법부를 압박하는 행태는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금도’에 해당한다”고 재차 비판했다.
그는 “통합당이 도를 넘고 있다”면서 “국민이 이해와 납득을 할 수 없는 ‘독재’ 주장을 중단하고 정책과 대안으로 여당과 경쟁하길 바란다. 상임위 회의장에서 법안과 논리로 논쟁하는 날을 기다린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다시 한번, 대정부질문 영상을 보며 불편하셨던 분들이 있다면 사과의 말을 전한다”고 밝혔다.
최성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