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러시아, 방역강화 대상 국가 지정 검토”

입력 2020-07-24 11:36 수정 2020-07-24 13:44
사진=연합뉴스

부산에 입항한 러시아 선박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연이어 발생하자 정부가 러시아를 ‘방역강화 대상 국가’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부산항 러시아 선박에서 러시아 선원들이 검사에서 상당수가 확진이 됐다”며 “러시아를 방역강화 대상국가로 지정하는 부분에 대해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중수본에 따르면 이날 부산항 북항에 입항한 러시아 국적 원양어선 페트로1호(7733t)의 선원 94명을 대상으로 전수검사를 실시한 결과, 총 3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또 해당 선박에서 수리 업무를 봤다가 지난 23일 확진 판정을 받은 부산 선박 수리업체 직원 A씨에 이어 내국인 확진자도 5명 추가됐다. 내국인 추가 확진자는 모두 A씨의 직장동료다.

현재까지 해당 선박에 올라 수리 작업에 참여한 업체 직원은 20여명을 알려져 확진자가 더 나올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해외유입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역강화 대상국을 지정하고, 해당 국가에서 출발하는 입국자에게 출발일 기준 48시간 이내에 발급받은 유전자 검사(PCR) ‘음성 확인서’를 요구하고 있다.

대상 국가는 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등 6곳이다.

윤 반장은 “중앙방역대책본부, 중앙사고수습본부를 포함해 관계부처간 협의·논의를 통해 방역강화 대상국가 지정 여부는 계속해서 검토를 하는 그런 상황”이라고 전했다.

윤 반장은 확진된 직원을 통해 지역사회로 감염이 번질 위험에 대해 “하선을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러시아 선원들로 인한 지역사회 감염 위험은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확진된 근로자의 가족에 대해서 검사를 한 결과, 가족 3명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며 역학조사가 계속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