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룡 신임 경찰청장 “경찰개혁은 ‘시대정신’”

입력 2020-07-24 11:09

김창룡 신임 경찰청장은 24일 “수사권 개혁이 담긴 국민적 뜻을 받들어 온전한 수사 주체로서의 역량을 증명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제22대 경찰청장에 취임한 김 청장은 경찰청 내부망에 올린 취임사에서 “대한민국 경찰이 다시금 변화와 도약의 전환점에 직면해 있다”며 시급한 과제로 경찰의 수사능력 제고를 꼽았다. 지난 1월 검경 수사권 조정이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경찰이 1차 수사종결권을 부여받는 등 권한과 책임이 커진 만큼 걸맞은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주문이다. 현재 서울지방경찰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방조·묵인 의혹에 대한 수사와 박 전 시장의 사망 경위 조사가 김창룡 호(號) 경찰이 내놓는 첫 주요 수사 결과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치경찰제 도입 등 비대해진 경찰 권한을 적절히 분산하기 위한 세부적인 경찰개혁도 김 청장 앞에 놓인 숙제다. 그는 “국민의 요구와 바람에 얼마나 부응하느냐에 따라 경찰의 성패와 미래가 좌우될 것”이라며 “끊임없이 개혁이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청장은 국민의 사랑과 존경을 받는 경찰이 되려면 ‘안전’과 ‘공정’의 가치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국민적 공분을 샀던 디지털 성범죄, 아동학대, 반복적·지속적 폭력행위 등은 한결같이 우리 주변의 보이지 않는 안전 사각지대 속에서 발생했다”며 “신고를 기다리기만 해서는 국민을 제대로 보호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사건·사고의 징후를 먼저 파악하고, 범죄 기회를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예방적 경찰 활동’이 우선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 “정책 결정과 법 집행 과정에서 공정의 신념을 내면화해야 한다”며 “법과 원칙에 따라 중립적이고 일관되게 법을 집행하는 것은 공정의 문을 여는 열쇠”라고 했다.

경남 합천 출신인 김 청장은 1964년 경찰대 법학과(4기)를 졸업한 뒤 1988년 경위로 임용되면서 경찰 생활을 시작했다. 참여정부 때는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실 산하 치안비서관실 행정관으로 근무하며 당시 시민사회수석이었던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일한 인연이 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