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태정 대전시장이 행정수도의 실질적 완성과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대전과 세종의 통합을 제안했다.
허 시장은 23일 오후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공동생활권인 대전과 세종은 행정수도 완성과 국가 균형발전의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운명공동체”라며 “이를 위해 대전과 세종의 통합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행정수도 완성의 당위성에 대한 정부·국회의 움직임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면서 “두 도시가 통합하면 인구 200만 이상 광역도시로서 행정수도의 기반이 되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끄는 중부권의 한 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 시장은 특히 국가발전의 축을 수도권에서 지역으로 옮기는 한국판 뉴딜의 출발점에 대전이 있다고 강조했다.
지역발전이 가속화되면 균형발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만큼, 대전 혁신도시가 균형발전 뉴딜의 거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허 시장은 “한국판 뉴딜은 국가균형발전과 긴밀히 결합돼 있고 그 중심에는 지역이 있다. 대전은 한국판 뉴딜의 시작이자 대한민국 대전환의 중심이 돼야 한다”며 “대전형 뉴딜의 시작을 통해 미래도시 대전을 향한 걸음을 내딛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균형발전 뉴딜을 기회로 삼아 두 지역의 상생 협력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며 “앞으로 시민사회, 정치권 등과 충분히 숙의하고 필요한 연구와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했다.
대전형 뉴딜의 경우 ‘스마트 그린 도시’ 완성을 목표로 2025년까지 총 13조원을 투입, 13만 여개의 일자리를 만드는 방향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시는 디지털 뉴딜·그린 뉴딜·안전망 강화라는 정부의 3대 방향에 맞춰 기존 사업 53개를 재구성하고, 신규 사업 47개를 연계 발굴해 총 100대 과제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허 시장은 “대전의 과학기술 자원 집약도는 전국에서 가장 높다. 대전의 정체성 역시 대한민국의 디지털·그린 대전환 코드와 정확히 일치한다”며 “단언컨대 대전이 생긴 70년 이래 가장 큰 기회가 주어진 것”이라고 역설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