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태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지 못한 노숙인들이 대부분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노숙인들의 재난지원금 신청비율은 35.8%에 그쳐 전국 지원금 수령률인 99.5%에 크게 못 미친다.
서울시는 노숙인들의 재난지원금 신청~수령 전 과정을 지원한다고 23일 밝혔다. 지원금 신청 마감일인 다음 달 19일까지 모든 노숙인이 혜택을 받게 한다는 목표다.
그동안 노숙인들은 재난지원금 사각지대에 있었다. 일반인보다 지원금이 절실한데도 정작 혜택에서는 소외됐다.
대부분 신청 단계에서부터 막혔다. 주민등록이 말소되거나 주민등록증(신분증)이 없는 사람이 많았다. 주민등록증이 있더라도 현재 생활하고 있는 곳과 등록지가 다른 경우가 많았다. 어렵게 신청해 재난지원금이 준비됐어도, 노숙인 휴대전화가 없어 연락이 닿지 않을 때도 있었다.
서울시는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시청·을지로 등 노숙인 밀집지역에 있는 ‘노숙인 종합지원센터’ 3곳에 전담 상담창구를 마련한다. 신청 관련 안내부터 신청서 작성, 동주민센터 제출 방법까지 신청 전반을 돕는다. 필요시 센터 직원이 노숙인과 동주민센터까지 동행한다.
주민등록증이 없는 노숙인에게는 주민등록증 재발급을 돕는다. 증명사진 촬영과 재발급 수수료(5000원)를 지원할 방침이다.
동주민센터에 재난지원금이 준비되면 센터가 노숙인에게 문자·유선으로 안내한다. 휴대전화가 없는 노숙인의 경우 센터 직원이 당사자에게 직접 안내해준다.
애초 재난지원금 신청기간은 지난 6월 18일, 신청장소는 주민등록지로 한정돼 노숙인이 신청하기엔 제약이 많았다. 하지만 정부가 신청 기간을 다음 달 19일까지로 늘리고 ‘거주불명자’도 가까운 지역 동주민센터에서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도록 방침을 바꾸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한편 서울시는 재난지원금 신청이 시작된 지난 5월부터 각 노숙인 시설을 통해 긴급재난지원금 신청방법을 안내해왔다. 남은 한 달 동안 더 많은 노숙인들이 신청할 수 있도록 유인물과 시설게시판을 활용해 집중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재난지원금 지급과 함께 노숙인 일자리, 임시주거 지원 등 노숙인 자립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