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 “주한미군 감축안, 트럼프에 보고 안 됐다” 논란 진화 주력

입력 2020-07-23 14:09 수정 2020-07-23 14:24
비건 부장관, 미국 상원 외교위 청문회 출석
“트럼프 대통령에 주한미군 감축안 보고 안 됐다”
“북한 비핵화 위해 중국과 협력할 수 있어”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한국을 방문했던 지난 8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만나기 전에 서류를 살펴보고 있다. AP뉴시스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22일(현지시간)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주한미군의 감축과 관련한 어떠한 권고안이나 제안을 제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미국 국방부가 백악관에 주한미군 감축 옵션을 제시했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 자체를 부인하고 나선 것이다. 이는 주한미군 감축과 관련한 논란을 진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비건 부장관은 이날 ‘미국의 대중국 정책’을 주제로 열렸던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 총괄하는 비건 부장관은 대북특별대표도 겸하고 있다.

비건 부장관은 청문회에서 ‘중국이 주한미군 주둔을 어떻게 볼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에스퍼 장관을 거론하면서 에스퍼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주한미군 감축과 관련한 어떠한 권고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꽤 분명히 밝혔다고 강조했다.

에스퍼 장관은 21일 영국 싱크탱크인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가 주최한 화상 세미나에서 “나는 한반도에서 (미국) 군대를 철수하라는 명령을 내린 적이 없다”고 말했다. 비건 부장관은 여기서 한발 더 나가 주한미군 감축설의 도화선이 됐던 WSJ 보도 자체를 부인한 것이다. 한·미 동맹과 주한미군 감축에 대한 미국 내 비판 여론을 의식한 스탠스로 풀이된다.

비건 부장관은 또 청문회에서 미·중 갈등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미국과 중국이 여전히 협력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비건 부장관은 “중국도 북한의 비핵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교가 더 바람직한 접근법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은 대북 제재를 집행하고, 제재 회피를 막는 데 있어 훨씬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면서 “우리는 중국이 이 이슈(북한 비핵화)에 계속 관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건 부장관은 또 “나는 그들(중국)이 국제 대북 제재 체제 하에서 전적으로 충실하다거나 책무를 다한다고는 말하지 않겠다”고 견제구를 던진 뒤에 “그러나 여전히 그들은 대체로 올바른 방향으로 밀고 나가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비건 부장관은 이날 청문회에서 한·미 방위비 협상과 주한미군 문제를 연계하는 듯한 발언을 내놓았다. 그는 주한미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결조건이 한·미 방위비 문제 해결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말을 던지기도 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