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3일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가 전 분기 대비 -3.3%라고 밝혔다. 1분기(-1.3%)에 이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다. -3.3%라는 숫자는 외환위기가 한창이던 1998년 1분기(-6.8%) 이후 22년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이기도 하다.
성장률 급락의 배경에는 차갑게 식은 수출 엔진이 자리 잡고 있다. 수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제 침체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다. 2분기 수출 증가율은 -16.6%를 기록했다. 이는 1963년 4분기의 -24% 이후 56년6개월 만의 최악 성적표다. 수출의 경제성장 기여도는 1분기보다 4.1% 포인트 감소했다.
여기에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위축됐다. 각각 2.9%, 1.3% 줄었다.
그나마 민간소비가 회복하면서 더 이상의 성장률 추락을 막았다. 민간소비는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개별소비세 인하 등의 효과로 내구재(승용차·가전제품 등) 위주로 1.4% 늘었다. 정부소비도 1% 증가했다. 전체 내수의 성장 기여도는 한 분기 만에 0.7% 포인트 높아졌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당초 예상(-2%대 초중반)보다 성장률이 더 떨어진 이유를 두고 “재화 수출과 민간소비 부문이 예상보다 부진했기 때문이다. 자동차·휴대전화 등의 재화 수출이 수출 대상국의 이동제한 조치, 해외공장 셧다운(가동중단) 등의 영향으로 전망치를 크게 밑돌았다. 민간소비도 재난지원금 효과 등으로 내구재를 중심으로 개선됐지만 서비스 부문의 개선 정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3분기에는 한국 경제가 회복세를 보일까. 한은은 중국 경제의 반등에 주목했다. 박 국장은 “주요국들이 코로나19가 재확산하더라도 경기 위축을 우려해 락다운(이동제한 등)을 강화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무엇보다 중국 경제가 2분기에 급반등했기 때문에 중국이 최대 수출 상대국인 우리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만 경기 반등의 속도는 지켜봐야 가늠할 수 있다는 게 한은 입장이다. 한은은 다음 달에 올해 경제성장률 수정치를 내놓을 예정이다. 당초 한은의 올해 경제성장률 예상치는 -0.2%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3분기 경기 회복 기대감을 내비쳤다. 홍 부총리는 “현재의 코로나 진정세가 이어지면 2분기를 바닥으로 3분기에는 상당 부분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며 “추가경정예산, 한국판 뉴딜 등 정책효과와 2분기 성장을 제약했던 해외생산, 학교·병원 활동이 정상화되는 가운데 기저효과까지 더해지면 코로나가 진정되는 3분기에는 중국과 유사한 트랙의 경기 반등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