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지난 1월 광주광역시를 시작으로 대구, 대전, 부산까지 비수도권 노선에서 5G 설비 개통을 마쳤다고 23일 밝혔다. 수도권 9호선 전 노선 역시 개통이 완료했고, 2호선의 경우 석면·내진 보강 등 공사가 진행되는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8월부터 순환선 전 구간에서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5G는 데이터 댐에 모인 수많은 데이터가 다양한 서비스 창출로 연계되기 위한 ‘데이터 고속도로’로 디지털 뉴딜의 핵심 인프라다. SKT·KT·LGU+는 코로나19 어려움 속에서 5G 인프라를 늘리기 위해 5G 조기 투자 노력과 함께 유동인구 밀집지역, 주요 고속도로, 공항, 빌딩 등 5G 인프라를 확대 중이다.
지하철 내 5G망을 구축할 때 어두운 터널 내 광케이블, 전원설비 등 5G 기반 시설 구축을 위한 고난이도의 사전 작업이 필요하다. 안전 문제로 지하철 운행이 중단되는 새벽에만 5G 장비를 설치할 수 있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5G 주파수 특성상 LTE 대비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해 평균 150~200m 간격으로 더욱 촘촘하게 설치해야 한다. 실제 작업 가능 시간은 하루에 2~3시간이다.
특히 통신사 엔지니어들이 하나의 지하철역과 다음 역 구간까지 5G 기지국 공사를 마치려면 평균 12~18회 이상 지하철 레인이 깔린 터널로 내려가야 하고 깊이만 평균 19.3m 정도이고 가장 깊은 곳은 55m에 달한다. 또 설치할 중계기 등을 들고 내려가야 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이러한 정부 및 지자체 등의 협조 속에 SKT·KT·LGU+는 5G 기반 시설 공동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다.
5G 공동 구축 시 주관사는 공사 인허가 협의 및 광케이블, 급전선, 전원 설비 등의 기반시설 공사를 전담하고, 주관사가 기반 공사를 마치면 주관사와 참여사가 각 사의 기지국 장비를 설치·연동해 네트워크 구축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5G 데이터 고속도로’ 확장에 주력 중”이라며 “기술 고도화, 혁신적인 5G 서비스 개발 등에 집중해 경제 혁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