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본회의장에서 윤석열 검찰총장 배우자 관련 자료를 살폈던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이번에도 보란 듯이 스마트폰에 무언가를 띄워 읽었다. 검찰 이슈를 다룬 기사에 달린 댓글들이었는데, 화면에는 검찰의 보복 수사를 주장하는 일부 네티즌들의 글이 가득했다.
추 장관은 22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정치·외교·통일·안보에 관한 대정부 질문에 참석했다. 국회의원들의 발언이 진행되는 동안 추 장관은 스마트폰을 책상 위로 올려 검찰 관련 뉴스를 읽기 시작했다. 이어 화면 하단으로 이어진 댓글을 살폈다.
이 모습이 포착된 사진을 보면 ‘(검찰이) 대놓고 보복 수사를 한다’ ‘검찰 나으리들 보복 수사 대단하네’ ‘검찰에 불리한 증거 제기했다고 검찰이 보복 수사 한다’ 등의 댓글이 달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 장관은 이날 이른바 ‘검언유착’ 의혹으로 수사를 받는 한동훈 검사장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의 질의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검사장은 법무연수원으로 발령을 냈기 때문에 법무부 감찰 권한 안에 들어와 있다”며 “수사가 끝나면 감찰하겠다”고 말했다.
또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 사건에 대해 묻는 김태흠 미래통합당 의원과의 대화에서 감정 섞인 고성을 주고받기도 했다. 김 의원이 “주무 장관이 왜 침묵하나. 며칠 전 기사를 보니 장관님 아들 문제는, 신상 문제는 더 건드리지 말라고 세게 말하던데”라고 하자 추 장관은 “이 사건과 아들을 연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질의에는 금도가 있다”고 응수했다.
이어 김 의원이 법무부 장관 입장 가안문이 최 대표에게 유출됐다는 논란에 대해 “‘수명자’(법률 명령을 받는 사람)라는 법률 용어가 증거”라고 주장하자 추 장관은 “그래서 어쨌다는 건가”라고 거칠게 응대했다. 이 과정에서 언성이 높아지자 김 의원은 “답변만 하면 되지 왜 자꾸 따지려고 하느냐. 지금 국회에 싸우러 나왔느냐”며 “기분 가라앉히고, 여기 와서 싫은 소리 들어야 하는 거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추 장관은 “싫은 소리 들을 자세는 충분히 돼 있지만 모욕적 단어나 망신 주기를 위한 질문은 삼가 달라”고 되받았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