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제1호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에 내년까지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된 첨단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된다. ‘그린뉴딜’ 차원의 무공해 발전시설은 GGM 전력 공급의 구심점이다. ‘광주형 일자리’ 실현을 위한 GGM에 ‘광주형 뉴딜’ 정책이 처음 덧씌워지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빛그린국가산단에서 착공한 GGM으로 닻을 올린 ‘광주형 일자리’에 이어 미래 광주발전을 이끌 ‘광주형 뉴딜’ 정책의 윤곽이 나왔다.
오는 2045년까지 24조여원을 투입해 국내 최초의 친환경에너지 자립도시로 탈바꿈하는 게 뼈대다.
광주시는 22일 “정부의 114조원대 한국판 뉴딜 정책에 발맞춰 ‘디지털’ ‘그린’ ‘휴먼’ 등 광주형 3대 뉴딜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역균형 발전 차원의 인공지능(AI)기반 디지털 뉴딜, 탄소중립 그린뉴딜, 상생·안전의 휴먼뉴딜이다. 시는 3대 뉴딜이 삼위일체가 된 광주의 청사진을 다듬어왔다.
시는 전날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2045년 에너지 자립도 100% 달성을 목표로 한 ‘광주형 AI-그린뉴딜 비전보고회’를 가졌다.
시는 빅데이터 기반 AI시스템을 구축해 신재생 에너지를 장기적으로 자체 생산·공급·소비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자립도시 실현을 위해 현재 7% 수준인 신재생 에너지 발전비율은 2035년 37%, 2040년 75%에 이어 2045년 100%로 끌어올린다. 에너지 자립을 이루기 위한 단계별 목표다.
시는 ‘AI-그린뉴딜’을 통해 광주가 에너지 종속 소비도시에서 무공해 그린에너지 수출도시로 변신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광주형 일자리의 산실인 GGM이 광주형 뉴딜의 첫 걸음이다.
시는 노사 상생형 광주형 일자리 1호 모델인 GGM 공장 13만8900㎡에 설치하는 태양광 발전소를 시작으로 도심 주거시설 79%를 차지하는 각 아파트 단지와 8개 산업단지, 순환도로 방음벽 등 도시 전역에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한다.
시민 주도의 마을·협동조합 조직이 중심이 된 빛고을시민햇빛발전소도 곳곳에 만든다. 신재생에너지를 모태로 한 이른바 녹색발전과 녹색분권이다.
시는 주택·아파트 한 가구에서 태양광 1㎾와 에너지저장장치(ESS) 3㎾를 설치하면 월 2만원, 연 24만여원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기차와 수소차 공급도 대폭 늘린다. 에너지 자립 원년인 2045년까지 전기·수소차 34만여대와 충전소 2만9500여기를 보급한다. 시는 이 같은 녹색 인프라·그린수송이 AI, 사물인터넷, ICT등과 맞물려 시민들의 삶의 질과 각 산업분야의 경쟁력을 높이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녹색발전, 녹색분권, 녹색인프라·그린수송 등 소위 광주형 뉴딜 3대 전략과 9대 핵심과제에 따른 야심찬 구상이다.
시는 이와함께 2030년까지 각 기업이 소비하는 전력을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자체 충당하고 2035년까지 광주시민들이 사용하는 대부분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후 2045년까지 외부 공급을 전혀 받지 않아도 되는 ‘탄소중립 에너지 자립도시’로 우뚝 선다는 것이다.
광주형 뉴딜 프로젝트를 통해 30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9조8000억원의 부가가치, 13만4800여명의 고용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그린투자펀드 조성 등을 통한 민간투자가 과연 제대로 이뤄질지가 최대 관건이다.
시는 국비 4조1312억원, 지방비 2조2602억원과 함께 민자 18조802억원을 포함한 24조4716억원이 광주형 뉴딜 과정에서 투입될 것으로 추산했다.
시는 광주형 뉴딜 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컨트롤 타워기능의 ‘에너지정책위’를 시장과 민간전문가 공동위원장 체제로 출범시킨다.
산학연 실무추진단인 ‘에너지정책지원협의회’, 38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에너지시민협의체’, 교육·홍보를 전담하는 ‘에너지시민실천단’ 협업체계도 꾸린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코로나 이후 도시경쟁력의 핵심은 안전과 환경”이라며 “에너지 자립도시 실현을 통한 녹색 혁명을 광주 발전의 성장기반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