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는 줄 알았더니” 제주 태양광발전사업 인기 끝났나

입력 2020-07-22 16:26 수정 2020-07-22 16:53
원희룡 제주지사가 2016년 9월 제주도청에서 '감귤 폐원지 태양광 전기농사' 최종 사업자 선정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주지역 태양광발전사업이 올들어 급감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이 몰리자 사업 제한사항이 늘어난 데다 전기판매 가격도 하락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제주 제주시에 따르면 관내 태양광발전사업 개발행위 허가 건수는 2016년 9건(10만7844㎡)에서 2017년 74건(24만7659㎡), 2018년 179(88만4744㎡)에 이어 2019년 377건(143만4005㎡)까지 가파르게 증가했다.

그러다 올해 들어 현재까지 109건(48만5769㎡)으로 크게 감소했다. 2016년 이후 지난해까지 허가 건수가 42배나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올들어 뚜렷한 감소세가 감지된다.

이처럼 도내 태양광발전사업 개발행위 허가가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사업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 기관에 따르면 태양광 사업자가 한전에 넘기는 제주지역 전기판매 가격은 단위(kWh)당 평균 2016년 91.7원에서 2019년 152.7원까지 올랐다가 올들어 112.7원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말 제주에 LNG를 원료로 한 도시가스 공급이 시작된 가운데 올들어 초저유가 사태로 천연가스 가격이 하락하면서 태양광 전기판매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

투자자 증가로 태양광 발전사업의 또 다른 수익원인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거래가격 마저 2017년 대비 1/3 수준으로 떨어졌다.

여기에 태양광사업에 대한 관심 증가로 한전의 배전선로 설치 작업이 늦어지고, 산지에 태양광발전을 설치할 경우 20년 사용후 원상복귀로 관련 규정이 까다로워진 점, 농지전용부담금 감면 혜택이 지난해로 종료된 점 등이 태양광 발전사업의 매력도를 낮추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제주시가 최근 허가기간내 사업을 완료하지 않은 67개 태양광 발전사업장을 현장조사한 결과 공사가 늦어지거나 착공조차 하지 못한 사업장이 41곳에 이르렀다. 이중 3곳은 자진 취소키로 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