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22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수돗물 유충’ 사태와 관련해 “국민을 불편하게 해 주무 부처 장관으로서 마음이 무겁고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며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명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환경부는 인천 공촌·부평, 경기 화성, 김해 삼계, 양산 범어, 울산 회야, 의령 화정 등 정수장 7곳에서 소량의 유충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정수장 12곳에서는 방충망이 설치되지 않는 등 운영상 문제를 찾아냈다. 전국 49개 활성탄지정수장을 사흘간 조사한 결과다. 또 인천 공촌 정수장에서 발견한 유충과 일반 가정집에서 나온 유충의 유전자가 같은 종(種)인 ‘깔따구 유충’인 것도 확인했다.
이에 조 장관은 “정수장에서 발생한 유충이 가정에서 발견되는 것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수질 기준을 초과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돗물을 단순히 이화학적 기준이 아니라 안심할 수 있는 수준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마트 상하수도 시스템 도입이 수돗물 유충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했다.
이와 함께 조 장관은 정부가 추진하는 그린뉴딜 정책에 대해 “경제 회복을 위한 재정 전략인 동시에 우리 경제·사회 체질을 바꾸는 국가 개혁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대규모 재정 투자를 통해 일자리와 경제를 회복하는 데 역점을 뒀다”며 “장기적으로는 화석연료 기반의 경제 사회 시스템을 저탄소 기조로 전환해 탄소 중립(넷제로) 사회로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5년까지 1230만t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끌어낸다는 구상이다.
한편 환경부는 2025년까지 전기차와 수소차를 각각 113만대, 20만대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내후년 일몰 예정이었던 전기차 보조금은 3년 연장키로 했다. 또 2024년에는 낡은 경유차를 제로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