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지 올해로 11년이 됐지만, 경쟁력은 갈수록 약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의 세계금융센터(GFCI) 순위는 2015년 24위에서 올해 51위로 추락했다. 전년과 비교해 8단계나 떨어진 성적표다.
부산에는 2009년 금융중심지 선정 이후 국내 금융 공기업 다수가 이전했지만, 파생 효과는 미미해 단순 금융 공기업 집적지에 불과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부산에 진출한 외국계 금융사는 4개에 불과하고, 그나마 본사가 부산인 외국계 금융사는 일본계 금융사가 유일하다.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는 21일 부산 금융중심지 관련 성명서를 내고 “부산 금융중심지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산업은행 등 수도권 금융기관을 부산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부산 금융중심지가 국제성(국제 금융기관 입주 등), 신뢰성(국가 지원 정책 등), 매력성(제도적 유인책)이 모두 떨어지거나 아예 없다고 지적했다. 부산 금융중심지 입주 기관이 부산에 대한 정주 의식과 애정이 부족하고 금융중심지 입주 기관 간 시너지가 없다는 점 등이 경쟁력 하락 요인으로 꼽혔다.
내륙에 있는 소규모 문현금융단지의 입지상 한계와 현재 부산 금융중심지가 ‘금융기관 섬’으로 동떨어져 동남권 지역 산업과의 연계가 취약한 것도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시민연대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10가지 정책을 제시했다. 24시간 복합금융문화도시 건설, KDB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수협은행 본사 등의 부산 이전, 금융 인재 육성시스템 강화, 부산국제금융전략특구 지정, 부산 금융중심지의 핀테크(금융기술) 지원과 인프라 구축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연대는 부산시 주도로 발족한 부산국제금융진흥원에 대한 우려도 표시했다. 시민연대는 “민간적 요소가 큰 금융의 속성상 금융 관련 기관의 컨트롤이 가능한지 의문”이라며 “시와 문현금융단지 금융 관련 기관이 출연한 진흥원의 출연 형태상 영속성과 독립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만큼 국비로 충당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