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의료 인프라 확충 위해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적극 나선다.
울산시는 22일 오후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울산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UNIST), 근로복지공단과 ‘울산지역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및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정부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와 같은 감염병 비상사태 대응 등을 위해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을 추진한 데 따른 조치다.
협약에 따르면 울산대학교는 증원되는 인력에 필요한 지역 내 캠퍼스와 교육과정 등을 마련하고, UNIST, 근로복지공단과 함께 기초의·과학 연구, 임상 협력, 인턴 등 수련의 양성에 나선다.
시는 업무협약을 통해 참여기관들과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를 구축해 기초의·과학 분야와 재생·재활분야 연구개발(R&D)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임상지원, 첨단 의료산업 및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를 뒷받침할 예정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시는 지역 의과대학 정원 확보를 위해 정부에 적극적으로 건의하고, 협력사항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TF팀도 구성해 운영한다.
울산시는 국립산재전문공공병원 설립과 함께 국립의과대학원 유치 계획을 세웠으나 국립대인 유니스트에 의대 설립이 제도적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고 울산대학교의 의대증설로 방향을 틀었다.
의과대학은 울산캠퍼스 형태가 검토되고 있다. 다만 정부의 정원 확대가 10년에 걸쳐 이뤄질 것으로 알려져 향후 의과대학 신설에 대해서도 장기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울산대학교에 의과대학이 있고 울산지역에 울산대학교 병원도 있으나 실질적으로 울산에는 의대생이 없다.
교육과정 6년 가운데 울산에 머무는 기간은 학부 1년 뿐이다. 의대생 대부분은 서울아산병원에서 실습 과정을 거친 뒤 울산으로 돌아오지 않고 서울 등 수도권에 자리를 잡기 때문이다.
울산대병원에서도 이에 대해 긍정적이다. 울산대병원은 전공의 등 의사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병원은 이번 기회에 의대정원 확보해 증원된 인원은 울산에서 교육과정과 수련과정을 이수한 뒤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 울산대 의과대학· 병원확장으로 의료질 높인다
입력 2020-07-22 1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