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전 서울시장을 성추행 등 혐의로 고소한 피해자 A씨 측이 경찰에 고소장을 내기 전 검찰에 먼저 면담을 요청했다고 22일 밝혔다.
A씨의 법률대리인인 김재련 변호사는 이날 2일 서울 모처에서 가진 2차 기자회견에서 “서울지방경찰청에 고소장을 제출하기 하루 전 중앙지검에 면담을 요청했고 부장검사와 약속을 잡았다”며 “해당 부장검사로부터 ‘일정 때문에 약속된 시간에 면담이 어렵다’는 연락을 받고 고소인과 상의한 후 서울지방경찰청에 고소장을 냈다”고 말했다.
다음은 김재련 변호사, 송란희 한국여성의전화 사무처장, 고미경 한국여성의전화 상임대표, 이미경 한국성폭력상담소장,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소장과의 일문일답.
Q. 피해자 조사 과정에서 경찰에 고소장을 내기 하루 전 검찰에 갔었다고 알고 있다. 검찰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접촉했나. 그리고 검찰 반응이 어땠길래 경찰로 가게 됐나.
서울지방경찰청에 고소장을 내기 하루 전인 7월 7일 저희 사무실에서 고소장이 완료된 상태였다. 피해자와 상의한 다음 서울중앙지검 여성아동조사부 부장님께 연락을 드려 면담 요청을 했다. (여성아동조사부장은) ‘고소장이 접수되기 전 면담하기는 어렵다’는 원론적 입장을 말씀하셔서 증거 확보 필요성 때문에 고소하고 바로 피해자 진술이 필요해 면담하고자 한다고 말씀드렸다. 그러자 ‘피고소인이 누구인지 확인해야 면담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고 해 피고소인에 대해서 말씀드렸고, 다음날 오후 3시 면담을 약속했다.
그런데 당일 저녁 부장검사가 연락이 와서 본인 일정 때문에 8일에 면담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말씀하셨다. 7월 8일 오후 2시 피해자를 만나 상황을 공유하고, 아무래도 중앙지검에 고소장을 내는 건 적절치 않은 것 같아 서울지방경찰청에 연락했다. (서울경찰청에 연락한) 시간은 7월 8일 오후 2시 28분쯤으로 자료상으로 나온다. 담당 팀장은 여성, 아동, 지적장애인 사건, 고위공직자 사건 등에 대한 직접 수사가 가능하다고 해 ‘고위공직자 사건에 대해서 오늘 고소장을 낼 예정이고 바로 조사를 진행해 달라’고 요청했다.
Q. 피해자가 4년에 걸쳐 20명 가까운 사람들에게 수차례 피해 사실을 얘기했다고 했다. 정확하게 몇 명에게, 몇 번에 걸쳐, 피해 내용을 얼마나 자세하게 말했나.
피해자가 기억하고 있는 범위 내에서 정리한 것에 따르면 부서 이동을 하기 전 17명, 부서 이동을 한 후에 3명에게 말했다. (피해자가) 정리한 내용에 대해서는 수사기관에서 진술했다.
Q. 피해자가 어느 직급까지 피해 사실을 얘기했고, 어느 직급 수준에서 묵살됐는지.
당연히 피해자보다는 높은 직급,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해 더 책임 있는 사람에게 전달해야 하는 인사담당자가 포함돼 있다. 자세한 부분은 현재 수사기관에서 수사를 진행 중이므로 그 결과를 지켜봐 주시기를 부탁드린다.
Q. 법원이 서울시청 압수수색영장을 기각한 것에 대해 어떤 입장인가.
피해자를 대리하는 변호인 입장에서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 처음 피해자와 상담하고, 7월 8일에 고소를 하고 새벽까지 피해자 진술을 이어 나갔던 건 최대한 신속하게 피고소인이 소지한 기기 등을 압수수색하고 실체적 진실을 발견해 나가고 싶어서였다. 피고소인의 사망으로 피해자가 치열한 법정 공방을 할 권리, 법정에서 자신의 피해에 대해 말할 권리조차 박탈당했다.
Q. 앞으로 서울시 조사단에 참여할 계획은 전혀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 부탁드린다.
서울시 조사단 참여 계획은 발표문에서 알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저희들은 명백하게 피해자와 함께 의논했고, 서울시 조사단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