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바꾼 이재명과 박주민…與, 서울·부산시장 진짜 공천?

입력 2020-07-22 13:31
'친형 강제입원'과 관련한 허위사실 공표 혐의에 대해 2심에서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았다가 대법원의 원심 파기환송으로 지사직을 유지하게 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6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입장을 밝힌 후 미소를 짓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경기지사는 22일 “저는 서울·부산시장 무공천을 주장한 바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불과 이틀 전 CBS라디오 인터뷰 등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아프고 손실이 크더라도 약속을 지키는 게 맞는다. 공천하지 않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했는데 말을 바꾼 것이다. 당내에서 이 지사에 대한 비판이 커지는 것을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당규를 통한 대국민 약속은 지켜져야 하지만 약속 파기가 불가피하다면 형식적 원칙에 매달려서도 안 된다”며 “공당의 대국민 약속이자 자기 약속인 무공천을 어기는 것이 불가피하다면 어겨야 한다”고 했다.

앞서 이 지사는 라디오 등에서 “당헌·당규에 중대한 비리 혐의로 이렇게 될 경우 공천하지 않겠다고 써놨다. 그러면 지켜야 한다. 이걸 중대 비리가 아니라고 할 수 없다”고 했다. 민주당 소속인 오거돈 전 부산시장이 성추문으로 물러난 데 이어,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성추행 의혹에 휘말린 상황인 만큼, 후보를 내선 안 된다는 취지로 해석됐다.


그랬던 이 지사는 이날 “서울시장의 무공천 논의는 당연히 서울시장의 중대한 잘못을 전제하는 것이고 잘못이 없다면 책임질 이유도 없다”며 “모든 논의는 사실이라면을 전제한다”고 했다. 현재 ‘공소권 없음’으로 수사가 종결된 박 시장의 성추행 의혹의 진위 여부가 중요하다는 논리다.

아울러 이 지사는 “(당헌·당규) 원칙을 지키는 것이, 청산되어 마땅한 적폐세력의 어부지리를 허용함으로써 서울시정을 후퇴시키고 적폐귀환 허용의 결과를 초래한다면, 현실을 선택하는 것이 더 낫다”고 했다. 무공천으로써 미래통합당 등 야당에 서울·부산시장 자리를 내주는 것보단 당헌·당규를 어기더라도 후보를 내는 것이 낫다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대표자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당권 출마 의사를 밝힌 박주민 의원도 이날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서울·부산시장 후보 공천여부에 대해 “무조건 후보를 내면 안 된다고 말하기 곤란하다”고 했다. 박 의원은 “부산, 서울 유권자가 거의 1500만 명이나 되기에 유권자에게 선택 기회를 드리고 또 선택을 받음으로써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공당의 모습 아닌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앞서 오거돈 전 부산시장 성추행 사태 때 “당헌을 볼 때 후보를 안 내는 것이 맞다”라고 한 바 있다. 그런데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뒤 의견이 달라진 것이다. 박 의원은 “서울시장까지 보궐선거 치러져야 하는 이 상황은 이전과는 정치적 의미가 굉장히 달라졌다”며 “그런 비판은 충분히 감내하겠다”고 했다.

이를 두고 각각 대권과 당권 주자로 분류되는 이 지사와 박 의원이 당내 여론을 의식해 생각을 바꾼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