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다음주 청와대 수석비서관급 이상의 참모진 교체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부동산 정책 논란에 따른 여론 악화를 인적 쇄신으로 타개하겠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22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다음 주 5~6명의 참모진 교체를 계획하고 있다. 교체 대상으로는 김조원 민정수석, 강기정 정무수석 등이 유력하다.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유임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참모진의 다주택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또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사망으로 도덕성 논란이 점화되면서 급속도로 민심 이반 현상이 나타났다. 4·15 총선 승리 직후와 비교해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격히 떨어진 것도 인적 쇄신 카드를 꺼내든 배경으로 풀이된다.
김조원 수석은 서울 강남과 송파에 각각 아파트를 보유한 청와대 다주택 참모진의 상징으로 평가되고 있다. 김 수석은 노영민 비서실장의 처분 권고에 강한 반감을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수석의 후임으로는 신현수 전 국가정보원 기조실장 등이 거론된다.
하지만 청와대 한 관계자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여권 관계자도 “김 수석이 부동산 문제로 대통령에게 부담을 주는 선택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막판 잔류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강기정 정무수석은 총선 전부터 교체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21대 국회 출범을 계기로 원활한 대야(對野) 관계 설정을 위해 교체가 유력한 것으로 보인다. 후임 정무수석은 비호남권 출신 정치권 인사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서훈 국가안보실장 체제 아래 안보실 조직 개편도 병행 준비 중이다. 김유근 안보실 1차장 자리에 서주석 전 국방부 차관을 임명하는 방식이 유력히 거론되고 있다. 김현종 안보실 2차장은 잔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사의설이 돌았던 최종건 평화기획비서관 역시 잔류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실 개편과 맞물려 정경두 국방부 장관의 교체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 장관 교체 시 후임으로는 김유근 차장과 박삼득 국가보훈처장이 거론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