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이인영 “아들 병역·유학문제 어느정도 규명됐다고 봐”

입력 2020-07-21 09:32 수정 2020-07-21 10:17
이인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이인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21일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아들과 부인 이보은 씨에 대한 여러 의혹이 제기된 데 대해 “우선 아들의 병역·유학 문제와 관련해 큰 의혹은 어느 정도 불식됐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럼에도 저와 아내, 제 아들과 관련한 의혹이 계속 제기되는 것에 담담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자는 이날 남북회담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 후보자는 오는 8월로 예상되는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입장을 묻는 취재진에 “통일부 이전에 저의 개인적인 입장으로는 연기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장관 후보자로서 국방부의 견해를 간접적으로 청취해보면 전시작전권 반환과 관련해 이미 IOC(기본운용능력)가 진행됐고 FOC(완전운용능력)를 거쳐 FMC(완전임무수행능력)로 가야 하는 현실적 요구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 후보자는 이어 “또 하나의 측면에는 그럼에도 코로나 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라는 현실적 제약 요건들도 존재한다”며 “국방부의 요구, 코로나19 확산 상황 등을 감안해 전략적으로 유연하게 판단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이 후보자는 앞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밝힌 ‘작은 교역’ 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제재와 관련해 벌크캐시(대량 현금) 문제가 늘 직접적인 제약조건으로 작용했는데 새로운 상상력으로 이를 뛰어넘어야 한다”며 “인도적 영역에서부터 작은 교류 협력을 추진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의 금강산 물, 백두산 물, 대동강 술을 남측의 쌀·약품과 맞바꾸는 방식을 예로 들면서 현물 대 현물 교역방식을 예로 들었다.

이 후보자는 남측의 대화 의지에 호응하지 않는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 복안을 묻자 “장관에 취임하면 보다 공식적으로 북한과 대화에 나설 수 있는, 북한이 대화로 나올 수 있는 그런 구상을 밝히고 제안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후보자는 장관에 취임한다면 “통일부에 아주 대담한 변화를 추진하겠다. 남북관계 발전에 있어 공식적이고 공개적이고 대중적인 영역에서 통일부가 중심이라는 확고한 위상을 정립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오는 23일 열린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