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보존엔 정 총리 ‘강력 건의’ 있었다…17일부터 ‘신중’ 지시

입력 2020-07-20 17:04 수정 2020-07-20 17:32
정세균 국무총리가 1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보존키로 전격 결정한 데는 정세균 국무총리의 강력한 건의가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벨트 해제에 관해 ‘신중론’을 펼쳐온 정 총리의 의견을 문 대통령이 받아들이면서 관련 논란에 마침표를 찍은 것이다.

복수의 국무조정실 관계자에 따르면 정 총리는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주례회동에서 문 대통령에게 그린벨트 해제 문제를 신중히 접근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 국무조정실 관계자는 “주례회동에서 부동산 문제 관련 이야기가 나오자, 정 총리가 그린벨트 해제에 대한 평소 생각을 문 대통령에게 전달했다”며 “그린벨트 해제에 대한 문 대통령의 생각 역시 정 총리와 같았고, ‘이 문제는 빨리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두 분 의견이 일치해 이런 결정이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전날 KBS 프로그램에 출연해 “그린벨트는 한번 훼손하면 복원이 안 된다.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며 ‘신중론’을 밝힌 바 있다.

정 총리는 지난주 경제부처 장·차관들을 연일 만나 그린벨트 해제에 신중해 줄 것을 재차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국무조정실 관계자는 “정 총리가 지난 17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으로부터 그린벨트 해제에 관한 보고를 받고 관련 지시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두 사람에게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주택 공급 방안의 효용성이 있는지, 그린벨트 수용비(토지보상금) 지급으로 오히려 부동산 시장에 돈이 몰릴 수 있는지 등을 꼼꼼히 살필 것을 당부했다고 한다. 이 관계자는 또 “정 총리가 ‘그린벨트가 해제될 것처럼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주는 것도 잘못됐다. 정확히 정책을 만들어야지 왜 이렇게 혼선을 주냐’며 지적도 했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또 지난 19일 오후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김현미 국토부 장관 등 경제부처 장관들을 불러 가진 경제상황점검회의에서도 그린벨트 해제에 대해 신중히 접근해 줄 것을 다시 한번 당부했다고 한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