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높은 고위험시설에 도입된 전자출입명부에 2000만건의 이용자 개인정보가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8건은 접촉자 추적에 사용됐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장관은 “6월 초 도입된 전자출입명부가 전국적으로 13만여개 시설에 설치됐고 이 중 3만여개소는 의무시설이 아님에도 자발적으로 설치해줬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어 “그간 전자출입명부 이용 건수는 2000만건으로 접촉자 추적에 8건을 활용해 인력과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박 장관은 “특히 수원시 PC방에서는 역학조사에서 발견하지 못한 48명을 추가로 확인해 진단과 격리에 활용했다”며 “전자출입명부는 수기보다 더 편리하고 개인정보 보안유지에도 안전하다.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나와 가족을 신속히 보호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시설 관리자는 적극적으로 설치해주고 이용자도 출입시 반드시 체크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감염에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방역 사각지대 기획 점검 결과를 공유하고 후속조치를 논의할 예정이다.
박 장관은 “쪽방촌, 고시원, 인력시장, 고속도로 휴게소 등 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장소와 볼링장, 당구장, 공연장, 집단감염이 발생한 육가공업체 등을 점검했다”며 “점검 결과를 보면 코로나19 대비가 시설별로 아직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