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룡 경찰청장 후보자가 19일 “최근 경찰청장들의 승진 소요기간과 견주어 보면, (내 경우는) 이례적인 고속 승진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노무현정부 청와대에서 당시 시민사회수석이던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근무했던 인연으로 빠른 승진을 한 것 아니냐는 세간의 의혹을 부인한 것이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 보낸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그간 어느 자리에서나 최선을 다해 맡은 업무를 성실히 수행해 온 점이 평가받았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빠른 승진 이유가 어디에 있다고 자평하느냐’는 박완수 미래통합당 의원의 질의에 대한 답변이었다. 김 후보자가 노무현정부 시절 청와대 행정관으로 근무했을 당시 시민사회수석이었던 문 대통령과의 인연으로 경찰청장 후보자에 내정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선 “인사 대상자가 인사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답했다.
‘코드 인사’로 인해 2022년 대선 선거사범을 중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겠느냐는 질의엔 “경찰은 모든 선거사범 수사과정에서 정치적 중립 의무 준수를 강조하고 있으며, 적법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수사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2022년 대선에서도 정치적 중립 의무를 엄정히 준수하고,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또 ‘김 후보 경력에 외사 근무 경험이 많고, 역대 청장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수사·기획 업무 경험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고 질의했다. 이에 김 후보자는 “30여년간 생안·수사·경비·정보·외사 등 다양한 분야를 거쳤고, 경찰서장·지방청장으로서 경찰 업무 전반을 지휘했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경찰조직 운영에 필요한 충분한 경험을 쌓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자는 “또한 해외 주재관으로 근무하면서 외국의 형사사법구조와 자치경찰 운영을 실제 접하고, 비교·검토해 왔다”며 “이러한 외사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당면 현안인 경찰개혁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최근 1년간 문 대통령을 만난 적 있느냐’는 김용판 통합당 의원의 질의에 “최근 1년간 대통령님을 만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이은주 정의당 의원은 ‘노무현정부 당시 문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함께 근무한 사실 외에는 특별히 눈에 띄는 이력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자는 이 질의에도 “인사 대상자가 인사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김 후보자는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인 2017년 12월 경찰청 생활안전국장(치안감)으로 승진했다. 당시 미국 워싱턴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경찰 주재관(경무관)으로 해외 파견 근무를 하던 중 승진한 것이다. 이후 2018년 12월 경남지방경찰청장에 오른 뒤 7개월 만인 2019년 7월엔 부산지방경찰청장(치안정감)으로 승진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