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 전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까지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에 대한 입장 표명을 요구받자 “윤석열 검찰총장에게는 왜 질문을 안 하느냐”고 했다.
최 전 의원은 지난 18일 페이스북에 ‘왜 그래야 하는지요?’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다. 그는 장혜영 정의당 혁신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한 내용의 기사를 공유하면서 “서지현·임은정·김제동씨 등과 추 장관을 시험에 빠뜨리는 질문이 많더라. 그런데 윤석열 총장에게는 질문하지 않는다. 이제 문 대통령까지 끌어들인다. 왜 그러냐”고 지적했다.
앞서 서지현 법무부 양성평등정책 특별자문관 검사, 임은정 부장검사 등에게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는 목소리가 컸다. 장 위원장은 18일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 문 대통령에게 입장 표명을 촉구하기도 했다. 서 검사와 임 부장검사는 과거 ‘미투 운동’을 촉발했고, 문 대통령은 “페미니스트 대통령이 되겠다”고 약속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은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서 검사는 13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개인적 슬픔을 헤아릴 겨를도 없이 메시지들이 쏟아졌다”며 “한쪽에서는 함께 조문을 가자 하고, 한쪽에서는 함께 피해자를 만나자 했다. 또 한쪽에서는 네 미투 때문에 사람이 죽었으니 책임지라 했고, 한쪽에서는 피해자가 용기 냈으니 책임지라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많은 기대를 해주시는 분들께 송구스럽게도 도져버린 공황장애를 추스르기 버거워 저는 여전히 한마디도 하기 어렵다”고 적었다.
임 부장검사도 15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검사직과 제 말의 무게가 버거운 저로서는 앞으로도 아는 만큼만 말할 생각”이라며 “검찰 내부 일만으로도 능력이 벅차 검찰 밖 일은 지금까지와 같이 깊이 공부하여 벗들과 이야기하기 어려울 것이니, 혹여 세상만사에 대한 제 짧은 생각을 기대하는 분들이 계신다면 미리 양해 구한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박 전 시장 장례식에 조화를 보냈을 뿐,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다.
한편 최 전 의원은 19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박 전 시장의 명예를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그는 이 글에서 “2차 가해에 반대하는 만큼 ‘사자명예훼손’에도 반대한다. 진실의 시간, 그게 ‘어느 쪽이건’ 우리는 '진실의 무게'를 감당할 준비가 되어 있을까”라고 적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