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서남권에 대규모 해상 풍력 단지가 조성된다. 오는 2022년부터 단계적 착공을 통해 224만 가구에 전력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정부는 17일 전북 서남권 주민 상생형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 추진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업무 협약은 1년간 11차례 국회, 정부, 지방자치단체, 유관기관, 시민·환경단체, 주민대표가 논의한 결과다. 정부는 그동안 3단계에 걸쳐 2.46GW 규모 해상 풍력 단지 건설을 추진했으나 주민 우려가 큰 상황이었다.
이에 정부는 이날 지역 주민과 상생 방안도 발표했다. 정부·지자체 및 유관기관은 기본타당성조사, 인프라조성, 공동접속설비 구축 및 인허가 협력을 통해 조속한 사업 추진을 지원하며, 연안어업구역의 실질적 확대를 통한 수산업 상생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령’을 개정해 주민참여형·지자체참여형 사업 추진을 통한 주변 지역 및 주민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전북 서남권 해상 풍력은 오는 22년부터 시범단지(400MW)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착공 될 예정이다. 확산단지(2GW)는 1년의 풍황조사 등을 거쳐 2023년부터 착공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 2028년 확산단지까지 준공되면 총 2.46GW의 대규모 해상풍력단지가 들어서게 되며, 이는 224만가구에 전력공급이 가능한 규모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은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 합의를 이끌어낸 모범적 사례로서 향후 집적화단지 제도가 도입되면 지정 요건 검토를 거쳐 1호 집적화단지로 지정할 계획”이라며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사례를 다른 지역에도 적용하여 주민과 상생하는 해상풍력 단지 조성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서남권 해상풍력단지 건설에 따라 10년간 23조원 규모 경제유발효과와 9만개의 직·간접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다”며 “조선업과의 연관성이 큰 해상풍력 추진을 통해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으로 어려움에 처한 조선기자재 업체의 일감확보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세종=전슬기 기자 sgjun@kmib.co.kr
전북 서남권 대규모 해상 풍력 단지 조성
입력 2020-07-17 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