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7 대책 이후에도 한 달간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이 계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는 6·17 대책 이후 1개월 동안 아파트 매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 아파트값이 0.6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지난달 19일 이후 이날까지의 아파트값 상승률 조사 결과다.
서울은 대책 발표 이후 한달간 아파트값이 평균 0.71% 올랐다. 경기는 0.59%, 인천은 0.31% 각각 상승했다. 서울은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 규제와 세금부담이 동시에 커지면서 9억원 이하 아파트가 밀집된 서울 외곽 지역이 크게 올랐다. 강북구(1.35%) 송파구(1.29%) 구로구(1.20%) 도봉구(1.18%) 강동구(1.14%) 노원구(1.13%) 관악구(1.08%) 성북구(1.03%) 등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송파구는 잠실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음에도 아랑곳 않고 올랐다.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MICE) 개발 호재 등 영향이다.
경기·인천 지역에서는 광명시가 1.21% 올랐다. 그 다음으로는 의왕시(0.92%) 용인시(0.89%) 인천 중구(0.78%) 남양주시(0.77%) 오산시(0.74%) 구리시(0.73%) 하남시(0.70%) 등 순이었다. 6·17대책으로 수도권 대부분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이자 시중의 유동성이 광명, 의왕 일대로 유입됐다. 다만 풍선효과가 극심했던 '수용성'(수원·용인·성남) 지역은 올해 2월 규제지역으로 묶인 이후 상승폭이 과거보다 누그러졌다.
문재인 대통령이 “부동산 투기로 돈을 못 벌게 할 것이다.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밝혔음에도 집값은 쉬이 떨어지지 않고 있다. 이쯤 되면 부동산만의 문제는 아닌 듯 하다. 각종 규제에도 부동산 값 폭등은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부동산 외 유동성이 향할 국가 성장 동력이 없는 탓은 아닌지 고민해야 할 듯 보인다. 부동산에 투자하는 많은 자산가들에게 한국형 뉴딜(K-뉴딜)은 여전히 추상적이다. 그린뉴딜을 추진한다면서 정작 그린벨트 해제를 바라보고 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