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항공 노조 “제주항공, 비양심·무책임의 극치...정부가 나서야”

입력 2020-07-17 14:19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합병 최종 결정을 미루자 이스타항공 노조가 정부에 사태 해결을 위한 적극적 참여를 요청했다.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17일 입장문에서 “제주항공 경영진을 기약 없이 최종 결정을 미루며 노동자를 벼랑 끝으로 몰아붙이고 있다”며 “정부가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제주항공은 지난 16일 “이스타항공이 주식매매계약(SPA) 선행조건을 이행하지 않아 계약 해지 조건이 충족됐다”면서 사실상의 계약 파기를 선언했다.

노조는 이같은 제주항공의 결정에 대해 “딜클로징이 마무리돼 고용불안과 임금체불이 해결되고 운항이 재개되기를 바라며 손꼽아 기다린 이스타항공 노동자들로서는 허탈감을 넘어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제주항공 경영진의 발표는 비양심과 무책임의 극치이고 자본의 냉혹성과 악랄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계속 체불임금을 누적시키고 (이스타항공) 파산의 위협을 강화하면 자연스럽게 원했던 인력감축을 이룰 것”이라며 “고용을 빌미로 더 많은 정부 지원금을 압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계획이 실패하더라도 이스타항공을 파산시켜 저비용항공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제주항공 경영진은 시간을 끌며 버티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조는 정부가 적극적 중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책임을 물었다. 노조는 “제주항공 경영진이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짓밟으며 사태를 파국으로 내몰 때까지 방치한 문재인 정부와 여당도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열흘 뒤면 6개월째 1600명의 임금이 체불되지만 고용노동청은 아무런 대책 없이 내내 매각협상만 바라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동청은 1000여 명의 노동자들이 강제·반강제로 쫓겨난 것에 대해 실태파악조차 하지 않았다”며 “임금체불 진정과 관련해 ‘처벌이 필요한 게 아니라 해결이 필요하다’, ‘노조가 일부 체불임금의 포기선언을 해줘서 고맙다’는 답변 앞에서는 노동법과 고용노동청의 존재 이유에 대해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대책을 촉구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