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 사는 77억명이 한국인처럼 고기와 야채를 먹으면 2050년에는 지구가 버티지 못한다는 조사가 나왔다.
16일 노르웨이 비영리 단체 EAT는 식습관과 건강, 기후변화의 인과관계를 분석해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식습관’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간의 식량 생산은 기후변화를 불러오는 글로벌 탄소배출에 4분의 1 정도 영향을 미쳤다. 이 중 40%는 가축사육, 음식물쓰레기, 쌀재배, 비료사용, 농지조성, 산림벌채 등에서 기인했다.
주요 20개국(G20) 중 1인당 음식소비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 이내인 국가는 인도와 인도네시아뿐이었다.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섭씨 1.5도 이하로 제한하는 범위 내로 설정했다. 이는 2021년부터 적용되는 신기후체제인 파리협약의 장기목표이기도 하다.
지구의 모든 사람이 한국인과 같은 음식 소비를 한다면 2050년에는 해당 분량의 음식을 생산하기 위해 지구가 2.3개 필요했다. 중국(1.77개)과 일본(1.86개)은 우리나라보다 지속가능한 음식 소비를 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미국이나 브라질처럼 음식 소비를 한다면 2050년에 지구는 각각 5.6개, 5.2개가 필요했다. 인도(0.8개)와 인도네시아(0.9개)만 2050년이 돼도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 내 음식 소비를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인의 하루 붉은 고기 소비량은 80g을 넘었다. 적정량인 0∼28g의 3배가 넘는 수치다. 붉은 고기 소비량이 적정량 이내인 국가 역시 G20 중 인도네시아와 인도뿐이었다.
보고서는 “현재 음식 소비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5.6Gt으로 이중 G20 국가는 3.7Gt을 배출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G20국가를 중심으로 국가별 음식섭취 가이드라인을 지킨다면 이를 5.0Gt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5.0Gt은 현재보다 12% 줄어든 규모로, 이를 준수하면 파리협약 기준을 지킬 수 있다.
보고서 대표집필자 브렌트 로큰은 “지금 일부 국가의 사람들이 잘못된 방식으로 음식을 먹어 전 세계가 비용을 치르고 있다”며 “몇몇 부유한 국가의 불균형한 음식 섭취는 기후와 건강, 경제에 손상을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