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한에 북미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가 될 새로운 제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싱크탱크 국익연구소의 해리 카지아니스 한국담당 국장은 16일(현지시간) 잡지 ‘아메리칸 컨서버티브’에 이같은 내용의 기고를 게재했다.
카지아니스 국장은 백악관과 국무부 담당자 등을 인용해 “북한과 협상이 타결될 경우 합의문 서명은 올 가을이 될 것”이라며 “3차 북미 정상회담을 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기차나 비행기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에 있는 아시아의 한 수도에서 서명될 것이라는 희망이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내고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시험을 다시 시작하지 않도록 다자 틀을 부활하는 아이디어를 검토했다고 카지아니스 국장은 전했다. 북한의 동맹인 러시아와 중국을 끌어들이고 일본과 또 다른 파트너를 합류시키면 돌파구를 만들 수 있다는 기대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카지아니스 국장은 “북한이 지난달 이 아이디어를 전달받았지만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다”면서 “실패한 초기 아이디어”라고 표현했다.
카지아니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팀이 사진찍기용이라고 비난받을 정상회담이 아니라 북미 양측에 분명한 성과를 달성할 양자 회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있다”면서 “북한에 무엇을 제공할지를 놓고 토론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한 국무부 소식동은 “북한의 핵무기 시설 동결은 물론 핵물질과 미사일 생산의 중단을 담보하는 것에도 관심이 있다”고도 말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우리는 양보를 위해 양보를 교환할 의향이 있고 테이블에 많은 새로운 것을 올려놓고 과거에는 안했던 일부 위험을 감수할 의향이 있다”면서 “우리는 북한이 원하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이 일이 작동되도록 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카지아니스 국장은 전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