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진원지로 도쿄의 호스트클럽이 지목되고 있다. 장소 특성상 감염예방 지침을 무시하기 일쑤인 데다가 이마저도 강제성이 없어 문제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16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긴급사태가 풀린 다음 날인 지난 5월 26일부터 이달 14일까지 도쿄 지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3034명 가운데 34.4%인 1045명이 호스트클럽 등 ‘밤거리’ 관련 감염자로 드러났다. 이 가운데 70%가량은 유흥업소가 밀집한 신주쿠구에서 나왔다. 호스트클럽은 남성 종업원이 여성 손님을 접대하는 술집으로 주로 소득이 높은 여성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호스트클럽을 중심으로 한 신규 감염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일부 업소에서는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는 점이다. 한 업소는 직원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거나 손님과 붙어 노래를 부르는 등 감염 예방 지침을 무시하는 일이 다반사로 벌어지고 있다. 해당 남성 접객원은 요미우리신문에 “언제 감염되더라도 이상하지 않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호스트클럽이 코로나19 확산의 주요 진원지로 뜬 원인이 호스트들의 생활 양식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호스트들은 주로 공동주택에서 집단생활을 하면서 퇴근 뒤에는 식사를 함께할 때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확진자 한 명이 발생하면 여러 명에게 쉽게 전파될 수 있는 환경인 셈이다.
호스트 경력 3년 차인 한 남성(23)은 신문에 “처음에는 두 칸짜리 아파트의 한 방에서 2단 침대 3개를 놓고 동료 5명과 생활한 적이 있다"며 한 사람이 걸리면 모두 감염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고 했다.
최근 유흥업소 종사자들의 감염 사례 급증은 적극적인 검사에 따른 결과라는 지적도 있다. 신주쿠구는 지난 6월부터 호스트클럽 등의 사업주가 참여하는 연락회를 설치해 종업원 중에서 감염자가 나오면 다른 직원 전원이 검사받도록 하는 체제를 갖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일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제시하는 감염 예방 지침이 강제성이 없다는 점은 여전히 한계로 지적된다.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도민과 사업자의 협력 없이는 확산을 막을 수 없다. 협력을 간곡히 부탁한다”고 위기감을 드러냈다.
코이케 지사는 이어 정부의 기본 대처 방침에 따라 업종 단체별로 마련한 예방 지침을 준수하지 않는 업소는 피하고, 인증마크가 있는 곳을 이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지자체가 특별조치법에 근거해 입장 손님 수 제한 등 예방 지침에 따를 것을 사업주 등에게 요청하지만 지키지 않아도 처벌할 규정이 없어 지침의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