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초선 의원 넷 중 하나 다주택자, 보유 주택 절반 서울”

입력 2020-07-16 13:36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관계자들이 16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21대 초선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분석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1대 초선 의원 4명 중 1명은 다주택자이며 보유 주택 절반이 서울에 집중돼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6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1대 초선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 분석 결과에 따르면 21대 국회 초선의원 151명 중 다주택자는 42명으로 전체의 27.8%를 차지했으며, 이 중 7명은 3주택 이상을 보유했다.

서울·수도권 편중 현상도 심각했다. 본인과 배우자 명의 보유 주택 총 173채 가운데 서울에 있는 주택이 82채(47.4%)였다. 경기·인천 등 수도권으로 확대하면 119채(68.8%)였다. 주택 가액 기준으로 보면 편중 현상은 더 뚜렷해졌다. 전체 가액이 976억원인데 서울이 649억원(66.5%), 수도권은 823억원(84.4%)이었다. 지방은 주택 비율은 31.2%지만, 가액으로는 15.6%에 불과했다.

강남4구에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초선 의원은 22명이었다. 22명 중 서울이 지역구인 의원은 4명 뿐이다. 강남이 지역구인 의원은 유경준 미래통합당 의원밖에 없으며 박성준(민주당), 이수진(민주당), 최기상(민주당) 의원은 강남 외 지역구다. 나머지 12명은 서울 이외 지역구, 6명은 비례대표 의원이다. 양정숙 무소속 의원은 강남에 3채, 김홍걸 민주당 의원은 강남에 2채를 보유했다.

경실련은 “이를 보면 국회가 강남 집값, 서울 집값을 낮추고 서민 주거불안을 해소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초선 의원이 지난 3월 선관위에 신고한 부동산 총액은 1768억원이다. 1인당 평균 11.7억원으로 국민 평균 3억원의 4배 수준이다. 상위 10%인 15명의 부동산재산 신고총액이 873억원(1인당 평균 58.2억원)으로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경실련은 “공시가격이라 실거래가 60%밖에 반영하지 못해 실제로는 국민 평균의 5배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의원별로는 백종헌 미래통합당 의원이 170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김은혜 통합당 의원이 168억원으로 2위, 한무경 통합당 의원이 103억원으로 3위 순이었다. 민주당에서는 김홍걸 의원이 75억원으로 1위(전체 4위)를 차지했으며, 더불어시민당으로 당선됐으나 제명당한 양정숙 의원이 58억원으로 여권 2위(전체 6위)를 차지했다.

경실련은 “초선의원도 재선 이상 의원과 마찬가지로 부동산 부자라는 점에서 다를 게 없다”며 “부동산 정책이 실패하는 사이 고위공직자는 계속 수혜를 입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21대 국회는 투명하게 재산을 공개하고 부당한 재산을 처분하는 등 제발 국민을 위한 정책을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