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을 비롯한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를 e스포츠, 한식 등 잠재력 있는 한국 문화 전반으로 다양화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이뤄진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6일 국무총리 주재 110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신한류 진흥정책 추진계획’을 논의 후 발표했다. 이번 추진계획은 지난 2월 문체부 등 13개 부처와 12개 공공기관이 참여해 출범한 한류협력위원회의 지속적인 논의에 따른 결과물이다.
정부는 먼저 대중문화에 편중된 한류의 범위를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지난해 해외문화홍보원 조사 결과 해외 외국인의 한국 관련 접촉 분야는 대중문화(37.8%)가 문화유산(10.5%) 스포츠(8.3%) 순수예술(2.4%)을 합친 것보다 많았다.
한류 범위 확대를 위해 우선 게임 산업 규제 완화 및 기업 지원을 늘린다. 국가별 대표급 선수들이 참여하는 ‘제1회 한·중·일 e스포츠 대회’를 11월에 개최하는 것을 비롯해 국가 간 교류행사를 늘려갈 예정이다. e스포츠 지역 상설경기장, 시설 지정 등 기반 구축과 함께 ‘e스포츠 국제표준’도 마련한다. 지역 상설 경기장은 부산 대전 광주 3개소에 설립하고 피시방 88개소를 지정한다.
전통문화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한국문화의 국가 이미지 제고 및 전 세계 홍보·확산을 위한 해외 한식당 한국적 이미지 강화 사업을 추진한다. 해외 중점 확산 도시 3곳의 한식당(도시 당 2~3개소)에 한국적 이미지 적용 외관 개선 및 보급물품을 집중 설치한다. 해외 태권도 교육과 홍보를 확대하고 태권도 사범 파견도 지난해 40개국 41명에서 올해는 70개국 71명으로 확대한다. 국내 거주 외국인 대상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가 참여하는 K-무형유산 한류공연도 진행한다.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활용해 소비재,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연관 산업의 동반성장도 꾀한다. 관광 활성화를 위해 국내 대규모 한류 행사인 한국문화축제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하고, 한류스타 협업 홍보 콘텐츠도 제작할 예정이다.
지속 가능한 한류 확산의 토대를 만들기 위해 한류협력위원회를 법제화해 정부 핵심 협업체로 지속 운영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온라인상 해외 한류 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한류 빅데이터도 수집해 활용할 방침이다. 박양우 문체부 장관은 “지금 한류는 기로에 서있으며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 정부의 지혜로운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