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들은 업무 외에 일상생활에서 무엇에 관심이 많을까. 그리고 주요 관심사를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을까.
서울시는 트위터와 블로그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시민들이 표현하고 있는 관심사들과 카드사 등의 소비·구매 자료, 대중교통 등 공공데이터를 융합해 최근 트렌드를 현실감 있게 반영한 서울시민의 5대 관심사와 47개 라이프스타일 타입을 도출했다고 16일 밝혔다.
SNS 상에 표출된 서울시민의 5대 관심사는 가사생활, 자기계발, 건강관리, 맛집나들이, 여가생활이었다. 시와 민간업체는 5대 관심사를 ‘혼자 하는지 vs 함께 하는지’ ‘집·직장 등 근처에 머무르는지 vs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지’로 세분화해 47개 유형으로 분류했다. 예컨대 맛집나들이에 관심이 있으면서 ‘혼자’하는 걸 좋아하는 경우 먹방을 보면서 대리만족하거나 에어프라이어 레시피를 탐구하는 라이프스타일에 속한다. 또 자기계발에 관심이 있으면서 ‘함께’ 하는 걸 선호하는 경우 퇴근길에 원데이 클래스를 듣거나 스터디모임을 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보였다.
서울시는 SNS 상에서 관심도와 관심 증가폭이 컸던 ‘나홀로 영화·전시관람’과 ‘맛집 탐방’의 경우 25개 자치구별 분석을 별도로 진행했다. 어떤 자치구에서 이런 활동이 얼마나 활성화됐는지 정도를 지수로 산출했다. 가령 ‘맛집나들이’와 관련해 카드매출과 매력도(맛, 입소문, 포토제닉)를 분석한 결과 용산구의 ‘양식-피자’ 업종이 타 자치구 대비 높은 매출액과 매력을 갖춘 것으로 파악됐다. 향후 이같은 분석을 토대로 피자축제 같은 관광상품을 개발해 지역홍보를 강화하는 등의 전략을 세울 수 있다고 서울시는 조언했다.
서울시는 성별·연령대 같이 인구통계학적으로 시민을 분류하는 것에서 나아가 ‘라이프스타일’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시민을 바라보고, 시민들이 어떤 관심사를 갖고 어떠한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지 파악해 시민수요를 반영한 정책 설계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 기업 등 민간에서는 마케팅·프로모션을 기획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을 세울때 활용할 수 있도록 동일한 데이터를 ‘빅데이터캠퍼스’를 통해 개방할 방침이다. 현재 시는 소비활동지수, 상권발달지수, 상권 배후지 정보 등 시민·상권·유통 관련 데이터를 ‘빅데이터캠퍼스’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서울시 보유 데이터와 민간 데이터를 활용해 시민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데이터에 드러난 시민 수요를 각 분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