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민주당, 무죄추정으로 박원순 사건 잠재우려 해”

입력 2020-07-16 08:55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민주당이 ‘무죄추정의 원칙’을 적용해 사건을 잠재우려 한다”고 주장했다

진 전 교수는 16일 새벽 자신의 페이스북에 “통합당 지지자들도 과거 비슷한 논리를 사용했다”며 “그런데 민주당에서 이 용어를 자기들의 비리에 대한 비판을 잠재우는 데에 써먹고 있다. 그렇게 오용되기 시작하기 시작한 것은 조국 사태부터”라고 했다.

그러면서 조국 전 법무부장관의 글을 인용해 무죄추정의 원칙에 대한 여권의 입장이 변했다고 비꼬았다.

조 전 장관은 2013년 11월 자신의 트위터에 ‘최종 재판 결과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주장은 시민의 입, 손, 발을 묶어놓고 국가기관 주도로 사건의 진실을 농단하려는 수작’이라고 썼다.


진 전 교수는 “피해자가 피해호소인이 되고, 고소건이 사건종결 되면 공식적으로 피해자·가해자·범죄사실이 사라져버린다”며 “거기에 맞춰 프레이밍을 짜다보니 이해찬 대표, 이낙연 의원, 서울시 등이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으로 바꿔 부르게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한마디로 사건을 그냥 증발시켜 버리려 한다. 자기들의 허물을 서로 감싸주고, 자기들의 비리를 자기들끼리 서로 덮어주는 패턴이 앞으로도 계속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진 전 교수는 또 글을 올려 “지금 문빠들이 피해자에게 하는 짓은 80년대 부천서 성고문 사건 때 독재정권과 그 하수인들이 권인숙 의원에게 했던 짓과 본직적으로 똑같다”며 “정권은 바뀌었는데 가해자를 비호하고 피해자를 공격하는 것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