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홍콩지사 일부 이전, 도쿄 제치고 서울 선택한 이유는

입력 2020-07-16 10:20 수정 2020-07-16 10:38
(홍콩 AFP=연합뉴스) 1일 보안법 반대 시위를 진압하던 한 홍콩 경찰(왼쪽)이 취재기자들(오른쪽)을 향해 최루액을 뿌리고 있다. 홍콩 경찰은 '홍콩독립' 깃발을 소지한 한 시위 참가자가 첫 보안법 위배 사범으로 체포됐다고 밝혔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사태로 서방 유력 언론들의 ‘탈(脫) 홍콩’이 시작됐다. 뉴욕타임스(NYT)는 홍콩지사 인력 3분의 1을 서울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를 비중있게 소개했다. WSJ는 “NYT 외에도 일부 매체는 필요할 경우 역내 다른 컨틴전시플랜(비상대응계획)을 짜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외국 언론인에 대한 비자가 최근 몇달 동안 쉽게 나오지 않는 점도 홍콩 주재 외신들의 업무를 어렵게 하고 있다. NYT는 홍콩을 기반으로 활동하던 디지털 뉴스 인력을 내년 한국으로 이동시킬 계획이라고만 밝혔지만 비자가 만료돼 더는 홍콩에서 취재할 수 없는 선임기자들도 이동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WSJ와 워싱턴포스트(WP) 역시 홍콩 외 다른 곳으로 인력을 옮길 것을 검토 중에 있다. WP 대변인은 홍콩보안법 영향을 평가중이라고 했다. CNN 방송 한 대변인은 당장은 직원을 옮길 계획은 없다면서도 “만약 홍콩에서의 활동이 위협받는다면 우리는 당연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 AFP=연합뉴스) 홍콩 진압경찰이 27일 도심인 센트럴 지구에 모인 시민들에게 해산하라고 경고하고 있다. 센트럴 지구에는 점심 무렵에 수백명의 시위대가 구호를 외치다 경찰에 의해 해산됐다.

특히 ‘외국 뉴스 매체의 관리와 점검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할’ 권한을 부여한다는 홍콩보안법 54조 조항이 외신 기자들을 우려케 하고 있다. 조디 슈나이더 홍콩외신기자클럽 회장은 "비자가 홍콩보안법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우려한다"고 말했다.

NYT는 홍콩 이외의 장소로 태국 방콕, 한국 서울, 싱가포르, 일본 도쿄를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보도에 따르면 NYT는 “한국은 해외 기업에 우호적이며 독립된 언론이 있고 주요 뉴스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력적이었다”고 밝혔다.

리서치회사 텔럼미디어는 홍콩 주재 기자의 수를 8000명으로 추산했다. 다수는 무역과 금융 관련 매체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