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자영업자가 14만명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침체와 최저임금·임대료 인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통계청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자영업자는 총 547만3000명으로 6개월 전보다 13만8000명(2.5%)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몰아친 2009년 상반기(-20만4000명) 이후 11년 만에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에는 직원을 둔 자영업자 위주로 감소하고 직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다소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지만 올해는 직원 유무와 상관없이 동시에 줄었다.
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135만7000명으로 6개월 동안 9만1000명(6.3%) 줄었고 직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11만6000명으로 4만7000명(1.1%) 감소했다. 전체 감소 폭은 14만명에 육박했다.
이처럼 자영업자가 줄어든 것은 경기 부진이 지속된 상황에서 코로나19 사태까지 터져 소비가 급속도로 위축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해의 경우 직원을 둔 자영업자는 줄었지만 직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늘었다. 최저임금 인상 영향 등으로 직원을 내보내는 자영업자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당분간 코로나19 충격이 지속하며 자영업자들에게는 힘든 시간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는 취약층의 단기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소상공인들이 어려운 현실을 극복될 수 있도록 보완 대책을 범정부적으로 즉각 수립해줄 것”을 촉구했다.
한편 최저임금 인상률은 2017년 7.3%에서 2018년 16.4%로 급등한 데 이어 지난해 10.9%로 상승했다가 올해 2.9% 낮아졌고 내년은 1.5%로 더 하락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