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수년째 지속하고 있는 4대강 자연성 회복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훼손된 강의 생태계 구조와 기능이 자연적으로 살아나서 다시 지속할 수 있도록 형태적·수문학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만드는 것이 궁극의 목표다.
환경부는 현재 한강·낙동강 보(洑) 추가 개방을 위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신뢰도 높은 평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작업을 다각도로 진행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5월 4대강 사업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보 처리방안 마련 등 ‘4대강 자연성 회복사업 추진’을 지시하고 총 16개 보 중 6개 보의 수문을 우선 개방하도록 했다. 녹조 발생 등 수질악화 요인을 최소화하고 강 생태계를 살리기 위한 특단의 조처를 내린 것이다.
이후 4대강 조사·평가단은 환경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금강·영산강 보 처리방안을 제시했다. 지난해 2월 금강의 세종보는 완전해체를, 공주보는 부분해체로 각각 결론 내렸다. 또 영산강의 죽산보를 철거하고 승촌보를 상시 개방하기로 했다. 최종 결정은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가 맡았다. 지난해 9월부터 현재까지는 금강·영산강 보 처리방안 결정을 위해 논의 중이다. 경제성 분석, 물 이용대책, 수질·생태계, 안전성 등이 검토 대상이다.
한강·낙동강은 지역 주민 반대 등으로 보 개방이 제한적인 상황이다. 환경부는 보 개방에 필요한 실측 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해 ‘보 평가를 위한 수질예측 분석연구’를 추진 중이다. 국가물관리위원회에서 금강·영산강 보 처리방안이 결정되면 이를 반영해 한강·낙동강 보 평가방법도 확정할 방침이다. 또 지역사회와 업무협약(MOU)을 추진하는 등 보 개방에 필요한 준비를 최대한 갖춘다는 복안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금강·영산강 보 처리방안은 지난해 8월 출범한 국가물관리위원회에서 깊이 있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위원회에서 조속한 시일 내에 합리적인 보 처리방안을 결정할 수 있도록 현장 설명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