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6일 국회 개원식에 참석해 ‘한국판 뉴딜’에 대한 국회 협조를 당부하는 연설을 한다. 애초 예정된 일정을 취소하고 국회로 가 한국판 뉴딜에 대한 초당적 협력을 구한다는 게 청와대 설명이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15일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당초 16일 한국판 뉴딜 국민 보고대회 이후 첫 일정으로 그린 뉴딜 현장을 방문할 계획이었다”며 “하지만 국가프로젝트로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위해선 국회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해 그린 뉴딜 현장방문 일정을 연기하고 국회 개원식을 축하하러 가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청와대에서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를 개최한 자리에서 “한국판 뉴딜은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대전환 선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속도’와 ‘이해관계의 조정’을 강조했는데, 관련 입법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선 야당의 협조가 절실한 상황이다. 문 대통령이 임기 이후인 2025년까지 한국판 뉴딜을 위해 160조원을 투입하겠다고 한 만큼, 다음 정부에서도 연속성을 이어가려면 야당의 협조가 필요하다.
개원 연설에서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출범 주문도 언급될 가능성이 크다. 여권의 검찰 개혁의 핵심 과제로 추진해온 공수처 출범 기한이 15일로 이미 지난 데다, 문 대통령이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공수처 출범을 요구해왔기 때문이다. 최근 여권의 악재인 부동산 문제에 대해 문 대통령의 해법을 밝힐 가능성도 있다.
문 대통령의 개원 연설은 21대 국회가 임기를 시작한 지 48일 만이다. 강 대변인은 “1987년 헌법 체제에선 최장 지각 개원식이란 언론 보도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국회를 갈 문 대통령의 발걸음이 가벼울 수만은 없다”고 했다.
문 대통령의 개원 연설은 30분가량으로 예상된다. 국회 개원식 일정이 계속 지연되고 이에 따른 정치 상황도 변하면서 연설문을 9번째 수정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연설 전날인 15일까지 연설문을 막판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가 국회 일정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한때 문 대통령이 개원 연설을 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왔다. 하지만 14일 여야가 개원식을 포함한 7월 임시국회 일정에 극적 합의하면서 문 대통령의 개원 연설도 성사됐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