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번 주말을 앞두고 수도권 대상으로 강화된 방역 조치 완화를 논의한다. 수도권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한자리로 떨어지는 등 진정세를 보이고 있어 국공립 시설 이용을 허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15일 오전 11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수도권 내 확진자가 최근 한 자릿수 이내로 떨어지는 날들이 서서히 나오고 있다”며 “이번 주말 정도부터 수도권에 대한 방역 강화 조치 조정 여부에 대한 논의에 들어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수도권 내 방역 강화 조치를 완화한다면 이번 주말부터 국공립 시설이 문을 열 수 있다. 두 차례나 공연이 취소된 서울예술단의 ‘잃어버린 얼굴 1895’도 개막할 수 있다.
정부는 지난 5월 초 이태원 클럽 관련 집단감염 사태가 벌어지자 28일부터 지난달 14일까지 수도권에 대한 강화된 방역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상황이 계속 악화하자 예정된 기간에 조치를 해제하지 않고 무기한 연장했다. 당시 정부는 연장 조치를 끝내는 기준으로 ‘수도권 신규 확진자 한 자릿수’를 제시했다. 진정세가 2주간 지속되면 판단을 다시 하겠다는 의미였고, 최근 이 기준에 가까워지면서 정부가 다시 논의에 들어간 것이다.
손 반장은 “현재 수도권에 실시되고 있는 방역강화 조치는 크게 두 가지인데 공공시설 운영 중단과 고위험시설에 대한 방역수칙 의무화 명령 등”이라며 “공공시설 운영 중단 부분은 실제 위험도에 따른 평가라기보다 상징적 측면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수도권 내 한 자릿수 확진자 외에 집단발생 신규 건수, 감염경로 미상 신규 확진자 비율, 방역망 내 관리 비율과 함께 사회적 수용성 및 위험도 등도 종합적으로 고려할 계획이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