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2차 유행이 시작된 후 17일 만에 지역감염 ‘0’명을 기록했다.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이동량을 줄인 게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풀이된다. 방역당국은 그러나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강해지고 소규모 집단감염이 계속된다는 점에서 광주의 코로나19 유행이 소강 국면이라 보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13일 하루 동안 광주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키르기스스탄에서 입국한 해외유입 사례 1명이었다. 지역감염 사례는 한 건도 나오지 않았다.
광주에서 코로나19 2차 유행이 본격 시작한 지난달 27일 이후 14일 오후 2시까지 총 170명의 누적 확진자가 발생했다.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2명을 제외하고 모두 방문판매와 관련된 경우다.
광주는 2차 유행 발생 4일 뒤인 지난 1일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격상했다. 2단계가 적용되면 실내 50인 이상, 실외 100인 이상 집회와 모임이 금지되고 유흥주점과 노래방 등 고위험시설의 운영이 중단된다. 2단계 상향조정 후 광주 내 이동량은 이전보다 40% 줄었다.
방역당국과 광주시는 그러나 안심할 단계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방문판매를 연결고리로 지역감염자가 꾸준히 나오고 있고 이 지역감염자가 이동하며 체육시설, 의료기관 등을 통해 ‘n차 전파’를 일으키고 있어서다. 실제 지역감염자 ‘0’명을 기록한 지 하루 만인 14일 광주에선 방문판매 모임 관련 1명의 추가 확진자가 확인됐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대전처럼 확진자가 많이 줄었다가 소규모 집단감염을 중심으로 또다시 발생하는 형태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2차 유행 후 확진자 발생이 다소 잠잠해진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서 여전히 지역감염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대목이다. 2차 유행 때 방문판매 관련 사례가 주를 이룬 것과 달리 최근에는 의원에서 투석하다가 감염된 경우, 육아도우미가 일했던 가정에서 일가족이 동시에 감염된 경우 등 일상 곳곳에서 확진자가 산발적으로 나오고 있다.
이에 광주는 15일 종료 예정이었던 거리두기 2단계를 오는 29일까지 연장키로 했다. 7일 이상 지역감염 확진자가 나오지 않거나 감염경로, 방역망 내 관리 비율 등을 고려해 하향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거리두기 단계를 다시 1단계로 낮춘다는 방침이다.
한편 러시아 국적 선박 집단감염으로 한 차례 홍역을 치른 부산항에서 또 다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와 비상이 걸렸다. 투발루 국적 원양어선인 ‘카이로스’ 선원 1명으로 검역당국은 함께 배에 타고 있던 선원 43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진행 중이다. 승선원들은 상륙허가서가 없어 배에서 내리진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이 선박이 부산 감천항의 한 수리 조선소에서 수리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검역당국은 선원들과 접촉한 조선소 근로자 파악에 나섰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등장하지도 않은 백신을 기대하는 것은 매우 성급하고, 유행을 종식한다는 표현은 기대일 뿐”이라며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개인위생을 통해 (코로나19의) 유행 규모를 억제하면서 관리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당부했다.
김영선 기자, 부산=윤일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