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10개국에 대한 비즈니스 목적에 한한 왕래 재개를 허용할 방침을 세웠다.
14일 요미우리신문은 이같은 내용을 전하며 아베 신조 총리가 오는 17일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일부 국가에 대한 제한적 입국 허용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새로 왕래가 허용될 전망인 국가는 한국과 중국, 대만 등 10개국이다. 신규 감염자 수와 감염 확산 위험도 등이 고려됐다. 일본은 베트남 태국 호주 뉴질랜드 등 4개국과는 이미 입국 허용과 관련해 협상에 들어간 상태다.
일본이 전면적인 입국 개방을 불허하고 제한된 목적에 한해서만 국경을 열기로 한 이유는 일본의 코로나19 상황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수도 도쿄를 중심으로 연일 수백명의 확진자가 나오며 ‘2차 유행’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
입출국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도 전면 개방을 불허한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은 유전자증폭검사(PCR) 능력이 부족해 다른 국가와의 비즈니스 왕래 재개에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분석했다. 현재 일본은 모든 입출국자에 코로나19 음성 검사 결과지를 제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비즈니스 목적의 왕래가 허용될 방침이 굳어짐에 따라 일본 정부는 9월 하데다와 나리타, 간사이 등 3개 공항에 하루 6000명을 검사할 수 있는 ‘비즈니스 도항자 PCR센터’를 설치하고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 기존 공항 검역소의 검사 수용 능력을 끌어올려 현재 하루 4000명 수준인 입국자 검사 건수를 총 1만명으로 확대한다.
유학생과 기업 주재원의 입국 허용도 검토된다.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일본 재류 자격을 가진 외국인 가운데 코로나19 관련 입국 제한 조치 시행 전 출국한 사람의 재입국을 다음 달부터 단계적으로 허용할 방침이다. 재입국이 제한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로 출국한 이들을 위한 구제책이다.
현재 일본이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입국을 거부하고 있는 나라는 한국 미국 등 주요 국가를 포함한 129개국과 지역이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