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지자체 최초 빅데이터·AI기반 도시예측모델 개발 착수

입력 2020-07-14 16:05
14일 오후 3시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서 ‘지능형 도시재생정책 지원시스템’ 구축사업 착수보고회가 진행되고 있다.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빅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의 도시예측모델 개발에 착수했다.

시는 14일 오후 3시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세미나1실에서 ‘지능형 도시재생정책 지원시스템’ 구축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사업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맞춤형 정책을 개발하고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행정데이터 및 통신사 유동인구, 카드사 매출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분석해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인구·주거환경·생활안전 등 6개 영역을 지수화 한다. 또 정보수집 연계기능 개발과 함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도시재생 예측 모델을 제시한다.

이중 인구지수 개발은 인구변화 추이, 인구이동, 소멸위험지수 변화 등 행정동·격자 단위 장래인구 추계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소멸위험 지역 분석 등 도시재생 전략 수립 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또 사업체·종사자 변화율, 실업률, 공실, 소비매출 지표 등을 활용하면 주요 상권영역과 쇠퇴지역을 분석할 수 있다.

교통사고·화재·범죄발생빈도 등 안전과 주거환경 관점에 따른 지수들을 적용할 경우 치안 및 안전시설 접근성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객관적 빅데이터 기반의 통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쇠퇴하는 지역을 지능적으로 파악·진단해 새로운 도시재생 진단모델을 도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시는 향후 진단·예측모델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경우 전국 지자체에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또 시민들에게도 홈페이지를 통해 지역현황에 대한 빅데이터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공공데이터 발굴 및 빅데이터 구축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라며 “딥러닝 기반의 빅데이터 융합 정책지원으로 행정의 신뢰도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