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들이 신용·체크카드 충전금 형태로 지급받은 정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의 절반가량을 먹는데 사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13일 행정안전부가 미래통합당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에게 제출한 ‘대구지역 신용·체크카드 긴급재난지원금 사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 5월 11일에서 6월 14일까지 사용된 금액은 3502억원이다.
이중 마트·식료품점에서 25.9%(906억원), 대중음식점에서 23.4%(821억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용액 중 49.3%(1727억원)가 먹는데 쓰인 셈이다. 뒤를 이어 병원·약국 12.3%(431억원), 주유 6.3%(221억원), 의류·잡화 5.3%(185억원) 순이었다. 문구·완구점(0.3%·12억원), 세탁소(0.2%·8억원), 사우나·찜질방·목욕탕(0.2%·6억원)에서도 일부 사용됐다.
가맹점 규모별로는 대형가맹점(연매출 30억원 초과)에서 34.4%(1206억원), 중소가맹점(3억원 초과 30억원 이하)에서 38.6%(1351억원), 영세가맹점(3억원 이하)에서 27%(945억원) 사용됐다. 영세·중소가맹점에서 65.6%(2296억원)가 사용된 것이다.
재난지원금 효과로 대구의 골목상권 매출액은 일시적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지난 2월(24~31일) 지역 소상공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절반(51%) 수준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5월 하순(18~24일)에는 전년 동기 수준을 회복한 것은 물론 5%정도 더 많은 매출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재난지원금 효과는 3주를 가지 못했다. 지급된 금액이 빠르게 소진되면서 6월 이후로는 매출액이 다시 하락세에 접어들었고 6월 말(22~28일)은 지난해 대비 매출액이 7% 감소했다.
김상훈 의원은 “재난지원금으로 상인들의 숨통이 트이는 듯했지만 지원금 소진과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소비심리가 다시 위축되고 있다”며 “일자리와 소비를 지속시킬 수 있는 장기성장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