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서울 마포구 연남동에서 운영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 ‘평화의 우리 집’(이하 마포 쉼터)에서 7년간 요양보호사로 일했던 A씨를 소환 조사했다. 윤미향 의원의 소환 조사는 아직 미정인 상태다.
13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울서부지검 형사4부(최지석 부장검사)는 정의연 마포 쉼터에서 2013년부터 근무한 요양보호사 A씨를 지난 9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A씨를 상대로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92) 학머니가 매달 받은 정부 보조금과 2017년 정의기억재단으로부터 받은 여성인권상 상금 1억원 등이 어떻게 관리됐는지 등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A씨는 지난달 말 연합뉴스 등과의 인터뷰에서 길 할머니 양아들 황선희(61) 목사가 수시로 마포 쉼터를 찾아와 길 할머니에게서 돈을 받아갔다고 증언했었다. A씨는 또 정의연이 회계 부정 논란에 휩싸이자 황 목사가 길 할머니의 정식 양자로 입적한 뒤 마포 쉼터 소장 손모(60)씨가 관리하고 있던 길 할머니의 돈 3000만원을 받아갔다고도 주장했다.
검찰은 지난달 16일 길 할머니 양아들인 황선희(61) 목사 부부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또 정의연의 회계부정과 안성 쉼터 관련 의혹에 대한 여러 건의 고발사건을 지난 5월 형사4부에 배당하고 수사에 착수한 뒤 정의연 사무실과 마포·안성 쉼터 등을 압수수색 하기도 했다.
정의연과 그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회계 담당자들도 여러 차례 불러 조사했으며 지난달 29일에는 정대협·정의연 결산 과정에 참여한 외부 감사 B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기도 했다. 검찰은 정대협·정의연이 돌보거나 장례를 치른 다른 위안부 할머니들의 유가족과 안성 쉼터 시공사 대표 등도 참고인으로 소환해 진술을 확보했다.
수사에 착수한 지 약 2달이 지났지만, 검찰은 정의연 전직 이사장이자 핵심 피고발인인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의원은 아직 불러 조사하지는 않은 상태다. 정확한 소환 일정도 알려지지 않았다. 윤 의원과 관련한 핵심 의혹은 안성 쉼터 건물 매입 과정에 위법성이 있었는지, 법인이 아닌 개인 명의 계좌로 모금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모금액 일부를 사적으로 유용했는지 등이 꼽힌다.
지하 1층ㆍ지상2층 단독주택으로 이루어진 마포 쉼터는 2012년 정의연의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한국교회희망봉사단과 명성교회의 지원을 받아 마련했다. 명성교회는 당시 약 16억원을 들여 서울 마포구 연남동의 주택을 매입했고, 고령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등 내부 공사를 거쳐 쉼터를 조성한 뒤 정의연에 무상으로 임대했다.
그러나 이곳에 머물던 김복동 할머니 등이 세상을 떠나고, 길 할머니마저 얼마 전 거처를 옮기면서 마포 쉼터에는 위안부 피해자가 한 명도 남지 않았다. 결국 정의연은 8년 만에 쉼터 운영을 중단하기로 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