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022년까지 공공임대주택 20만호 공급

입력 2020-07-12 13:42

경기도가 오는 2022년까지 현재 계획 중인 도내 모든 테크노밸리 사업을 조기 착공하고 공공임대주택 20만호를 공급키로 했다.

경기도는 12일 ‘이재명호’ 후반기 도시주택분야 정책 운영방향을 “경제위기 회복력을 키우고, 사람과 환경이 어우러져 지속가능하게 공존할 수 있는 건강한 도시, 보편적 주거복지가 구현되고 부동산 분야에 공익기능이 강화된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먼저 산업다변화 기반 구축을 위해 도는 2021년 제3판교 테크노밸리, 고양일산 테크노밸리, 광명시흥 테크노밸리를 시작으로 2022년에는 경기양주 테크노밸리, 경기용인 플랫폼시티 등 모든 테크노밸리 사업에 대해 조기 착공한다.

환경 중심의 도시공간 조성을 위해 민·관과 경기도시공사가 기획 단계부터 공동 참여하는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등 3기 신도시 지구계획수립을 착수하는 등 신도시 로드맵을 마련한다. 일터와 문화가 공존하는 복합도시, 생활권 공원 체계 구축, 퍼스널 모빌리티와 수소경제 활성화, TOD(대중교통지향형개발) 교통체계 등 친에너지·친환경·신교통 전략도 도입하기로 했다.

서민 주거복지 구현을 위해서는 2022년까지 공공임대주택 20만호를 공급한다. 주거급여와 저소득층 매입임대주택 임대보증금, 장애인 주택개조 등이 보다 많은 대상자에게 지원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청년·신혼부부 등 계층별 맞춤형 행복주택도 안정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며 2022년까지 경기행복주택 1만 세대를 공급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스마트·원패스 시스템 등 비접촉 주거환경을 도입하기로 했다.

스마트·원패스 시스템이란 스마트키를 통한 공동현관 자동개방, 승강기 호출 등 비접촉 생활이 가능한 시스템을 말한다.

부동산 공익강화를 위해 이 지사의 핵심공약 중 하나인 ‘공공개발이익 도민환원제’를 확대한다. 공공개발이익 도민환원제는 각종 개발사업으로 발생되는 개발이익이 특정 집단에 과도하게 사유화되는 것을 막고 이를 재원으로 임대주택이나 공공시설에 재투자해 도민을 위해 사용하는 제도다.

광교신도시 경기융합타운과 평택·파주 지역균형개발 산단, 다산신도시를 대상으로 도민환원제를 시행한 바 있다.

홍지선 도 도시주택실장은 “민선7기 전반기 동안 공공개발이익 도민환원제 도입, 관리노동자 휴게공간 조성,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등 ‘공정’이 도시주택 정책에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면서 “후반기에는 주민의 입장에서 불편하고 부족한 곳을 먼저 살펴 그에 맞는 적합한 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