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논란이 일었던 고(故) 백선엽 장군의 대전현충원 안장을 두고 정치권이 정면 충돌하고 있다.
미래통합당은 그의 공로를 인정해 대전이 아닌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에 그를 안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11일 페이스북에 “백 장군은 오늘날 대한민국 국군의 초석을 다졌던 진정한 국군의 아버지다. 백 장군을 동작동 국립 현충원에 모시지 못한다면, 이게 나라인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백 장군과 함께 싸워 이 나라를 지켰던 국군 용사들은 대부분 동작동에 잠들어 있다”며 “6·25전쟁 중 전사한 12만 호국 영령들은 지하에서 ‘우리의 사령관 백선엽 대장과 동작동에서 함께 하겠다’고 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원내대표는 백 장군의 친일 행적과 관련해선 “식민지에서 태어난 청년이 만주군에 가서 일했던 짧은 기간을 친일로 몰아 백 장군을 역사에서 지워버리려는 좌파들의 준동”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정의당 김종철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백선엽씨는 일제 식민지 시절, 일본이 조선독립군 부대를 토벌하기 위해 세운 간도특설대에 소속되어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한 장본인”이라며 현충원 안장에 반대했다.
김 대변인은 “일부 공이 있다는 이유로 온 민족에게 말할 수 없는 고통을 안겨준 일제의 주구가 되어 독립군을 토벌한 인사가 국립현충원에 안장된다면 과연 앞서가신 독립운동가들을 어떤 낯으로 볼 수 있나”라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그의 별세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민주당 관계자는 “백 장군이 4성 장군으로서 한국전쟁 때 공을 세운 것은 맞으나 친일 사실도 밝혀진 바 있다”며 “별세에 대해 당이 입장을 내지 않는 게 맞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