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도의 코로나19 확진자 정보공개·공유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확진자 동선·범위 등에 대한 정보공개가 늦고 공유가 제대로 되지 않아 제2의 확진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접촉자 검사와 발빠른 방역에 차질을 빚고 있다.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지역발 집단감염이 본격화된 이후 광주시청 홈페이지 등의 방문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147명에 달한 확진자 동선과 거주지, 증상발현일 등의 구체적 정보를 확인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다.
광주에서는 지난 1일 역대 가장 많은 22명의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확산추세가 7월부터 두드러져 평상시보다 30배 이상 많은 시민들이 날마다 시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있다.
광주시는 고시학원과 사우나 등에서 소규모 집단감염이 속출하자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심각하게 고민 중이다. 3일 연속 두자릿수 확진자가 발생하거나 엄중한 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 10이상 모임을 제한하 모든 학교와 대다수 시설의 문을 닫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확진자 정보공개는 더디게 이뤄져 광주시가 운영 중인 블로그와 SNS 등에는 시민들의 불만이 줄지어 제기되고 있다.
시는 7월 들어 ‘댓글’ 등을 통한 민원이 잇따르자 역학조사 인력을 보강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동선공개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시는 확진자 진술과 GPS, 신용카드 사용업소 등을 일일이 확인하고 동선 등을 최대한 정확히 하는 과정에 시간이 걸려 정보공개가 다소 늦어진 측면이 있다는 입장이다. 시민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시는 코로나19 확진자 정보를 제대로 공개·공유하지 않아 접촉자 검체검사와 방역이 차질을 빚기도 했다. 광주 74번 확진자와 아내인 82번 확진자가 6월29일부터 7월1일까지 전남 광양의 한 아파트에서 확진 판정 직전까지 3~4일간 머물렀는데 이를 광양시 등에 통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광양시는 본의 아니게 확진자 부부가 아파트에서 3일간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도 이를 까마득히 모를 수 밖에 없었다. 광주시 홈페이지에 공개된 74번 확진자의 동선에도 광양 아파트는 포함되지 않았다.
언니 부부의 확진판정 이후 상황을 파악한 74번 확진자 처제의 요청에 따라 광양시는 뒤늦게 대응에 나섰지만 확진자 부부가 아파트를 떠난 지 4일이 지난 5일에서야 허겁지겁 방역작업을 실시할 수밖에 없었다.
74번 확진자 부부가 떠난 후 아파트에 들어가 생활하던 처제 부부는 코로나19 검체검사 결과 다행이 음성판정을 받았으나 해당 아파트 주민들은 여전히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광주 북구 보건소는 74번 확진자가 광양 아파트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단순히 ‘시골집에 머물렀다’고 에둘러 표현해 다수가 생활하는 아파트가 아닌 줄 알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광양시에 대한 통보가 불가피하게 늦어졌다는 것이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광양 아파트 방역소독이 이뤄진 다음날인 6일 브리핑을 통해 확진자 정보공개가 늦어진데 사과하고 확진자가 거주하는 아파트 이름도 추가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후 117번 확진자(무등산 그린웰 로제비앙아파트)부터 17~18곳의 아파트 명단을 시 홈페이지 ‘확진자 이동경로’를 통해 공개하고 있지만 혼란은 여전하다. 광주시가 선제적 대응과 신속한 방역강화를 명분으로 아파트 명단을 공개하자 해당 동과 확진자가 엘리베이터를 탔는지 여부를 묻는 전화가 폭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확진자의 읍면동 단위 이하 거주지 정보와 직장명 등 개인을 특정하는 정보는 공개하지 않는 게 원칙”이라며 “아파트 단지 내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정보제공 범위에 관한 규정은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해명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